[출처=EBN DB]
[출처=EBN DB]

정부가 차세대 태양광 모듈과 전력망,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 본격 착수하며 에너지 산업 전환 전략을 가속화한다. 2028년 탠덤셀 태양광 모듈의 세계 최초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전남을 테스트베드로 한 차세대 전력망 구축과 2030년 SMR 해외시장 진출이 추진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에서 '초혁신 15대 선도 프로젝트' 세 번째 실행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기존 태양전지 효율 한계와 중국 중심 공급망 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초고효율 탠덤셀 모듈 개발을 국가전략 과제로 지정했다. 기업·연구기관·표준인증 기관이 참여하는 추진단을 꾸려 연구개발과 실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재생에너지 확산 기반인 차세대 전력망 구축도 추진된다. AI 기반으로 재생에너지·저장장치·소비 데이터를 통합 제어하는 구조로, 전남 지역을 선도기지로 삼아 캠퍼스·군 부대·공항 등에서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이 진행된다.

원전 분야에서는 i-SMR과 비경수형 차세대 SMR 개발을 병행한다. 2028년까지 i-SMR 설계 인가를 획득하고 2029년 제작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창원·부산·경주에 기자재 제작장비 공용활용센터를 구축하고 원전산업성장펀드도 조성한다.

풍력 분야에서는 20㎿+급 초대형 터빈 개발과 부유식 해상풍력 실증에 속도를 낸다. HVDC(초고압 직류송전) 기술 개발과 실증선로 구축 등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기반 마련도 포함됐다.

정부는 그린수소 분야에서도 대용량 수전해 기술 확보와 생산·저장 실증을 통해 경제성과 공급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기재부는 "프로젝트별 실행계획을 지속 업데이트해 내년 4월까지 2027년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