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BN

지난해 바이오주 급락으로 코스닥에서 반대매매 규모가 12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의 작년 연간 반대매매 금액은 1조179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7년 1조3320억원 이후 12년 만에 최대 규모다.

반대매매는 증권사의 돈을 빌려 매수한 주식의 주가가 일정 수준 아래로 떨어지거나 외상거래로 산 주식(미수거래)의 결제 대금을 기간 내에 납입하지 못할 경우 증권사가 강제로 처분해 채권을 회수하는 것이다.

투자자 의사와 무관하게 반대매매 주식 수량과 매도가가 정해지기 때문에 반대매매가 늘어나면 투자자의 손실이 커지고 증시도 추가 하락 압력을 받게 된다.

월별로 보면 코스닥 반대매매는 1~4월까지 월간 400억~800억원 수준으로 비교적 크지 않았다가 5월 1081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후 7월과 8월 들어 1849억원, 1948억원으로 나머지 달의 두 배 이상 수준으로 급증했고 10월에도 1089억원으로 1000억원을 넘겼다.

이 같은 수치는 작년 코스닥을 뒤흔든 제약·바이오주의 등락대로 움직였다.

작년 코스닥 바이오주는 3월 초 코오롱티슈진의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에 대한 3월 말 판매 중단 및 5월 품목허가 취소 조치에 크게 흔들렸다.

6월 말에는 에이치엘비의 항암 신약 '리보세라닙'이 실망스러운 임상 3상 결과를 내놓은 데 이어 8월 초 신라젠이 면역항암제 '펙사벡'의 3상 중단을 발표하는 등 악재가 잇따랐다.

이에 신라젠 주가가 중단 발표 당시 4거래일간 68.1% 폭락하고 8월 5일 코스닥지수가 바이오주 중심으로 7.46% 급락하면서 3년여만에 코스닥시장에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다.

10월에는 임상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바이오주의 희망'으로 불린 헬릭스미스마저 당뇨병성신경병증 치료제 후보물질 '엔젠시스'의 3상 결과 발표를 연기하면서 바이오주는 또 한 번 타격을 받았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