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안기태 연구원은 "중국의 1분기 경기침체가 확인됐다"며 "통화정책만이 아니라 재정정책이 필요한 데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통화 정책이 주도해 왔는데 글로벌 코로나 위기 이후 재정 정책이 가세했다"고 분석했다.
안 연구원은 "재정을 편성한 중국은 2분기에 침체 탈피할 가능성이 있는 현재 그렇지 못한 유럽은 실물 회복을 위한 재정정책이 필요하며 가계와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현금지원이 좋은 사례"라고 진단했다 .
그는 "유럽의 코로나 대응이 느린 현재, 실물 회복에 필요한 재정부양을 하는 국가의 순서대로 경기회복이 예상되는 만큼 GCC(Global Corona Crisis) 이후, 재정 정책으로 축이 이동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경기부양 수단에는 통화정책, 은행규제 완화, 재정정책이 있는데 통화정책은 이미 활용했고 은행규제는 금융위기 트라우마 때문에 풀어주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남은 것은 재정정책인데 이는 기준금리 결정과 달리 정치적 합의가 필요하다. 역설적으로 충격이 발생하면 정치적 합의가 도출된다. 미국은 성인 1인당 1000달러 현금 지급이 논의 중이다. 이것만 계산할 경우, 미국의 GDP 대비 경기부양 목적의 재정지출은 1.4%가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