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반도체·디스플레이·전자정보통신·배터리 등 4개 업종협회와 공동으로 21일 코로나19 대응 산업계 대책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코로나19 이후를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이후 콘텐츠를 중심으로 산업지형이 새롭게 변화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신기술 채택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의 경우 코로나19 사태가 빠르게 종식된다면 그동안 억눌렸던 수요가 하반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가 아직 반도체 업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고 미국, 유럽 확산도 2분기내 완화된다면 향후 반도체 산업에 대한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과거 전염병 이후 강한 회복세를 경험한 것처럼 하반기에 IT기기의 억눌린 수요가 폭발할 경우 반도체 경기 회복세는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디스플레이 산업은 단기적으로 공급차질, 장기적으로 수요부진이 불가피하다"면서도 "2분기부터 LCD생산이 점차 정상화되고 있으며 전세계 코로나 사태가 조기 종식될 경우 경기회복에 따른 IT기기의 강한 수요반등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배터리는 전기차 확산으로 2차전지 수요가 꾸준히 늘고 가전은 코로나19 이후 건강가전이 필수가전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판매량이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에도 전기차 시장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핵심부품인 2차전지 시장도 전망이 밝다"며 "경쟁관계인 중국기업과 격차를 벌일 수 있도록 핵심소재·장비의 국산화, 차세대 전지기술력 제고 등이 코로나19 대응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각 협회장들은 코로나 이후 기업들이 빠르게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보았다.
남기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반도체 신증설투자 활성화를 통한 조기 경제회복을 위해 각종 규제완화와 과감한 정부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서광현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도 "신성장 R&D세액공제 대상 확대 등 혁신기술 개발을 과감하게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순남 한국전지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코로나19 종식 이후 수요증가에 대비해 기업들이 유연하게 인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주 52시간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참석자들은 해외입국 제한으로 좁아진 문을 넓혀 줄 것도 요청했다. 실제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은 해외생산 필수인원이 제때 투입되지 못하고 가전은 코로나로 중단된 제품 시험·인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디스플레이협회는 기업인의 비자발급, 특별입국 허용을 위한 외교적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는 국가별 시험·인증 업무가 정상화될 때까지 규제대상 제품에 대한 시험·인증을 한시적으로 유예하는 등 국제공조가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좋은 위기를 낭비하지 말라는 명언처럼 코로나 이후 새로운 산업질서 재편과 신기술 채택 등 기회에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