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는 6일 은성수 위원장 주재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열고 중소·중견기업 자금지원, 소상공인 금융지원, 기간산업안정기금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은성수 위원장은 기업자금 조달에 힘쓰고 있는 금융권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지난 2월 발표한 금융지원 방안과 '100조원+@' 대책 등을 통해 5월 1일까지 정책금융기관 및 시중은행에서 소상공인·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금융지원 규모는 총 89만건(77.4조원)으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신규대출·보증 지원이 70.7만건(40.3조원) 실행됐으며 기존자금 만기연장·상환유예가 16.9만건(34.9조원) 이뤄졌다.
이자납입유예는 0.4만건(0.7조원) 지원됐으며 기타 수출입금융(신용장), 금리할인 등에 1만건(1.6조원)이 지원됐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지원건수 기준으로 음식점업(19.2만건·22%), 소매업(15.1만건·17%), 도매업(10.2만건·11%)순으로 금융지원이 이뤄졌다.
정책금융기관은 57.7만건(43.6조원), 시중은행을 통해서는 31.2만건(33.8조원)의 자금지원이 실행됐다.
은성수 위원장은 중소·중견기업 지원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은행권과 금융당국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동산담보 회수지원기구, 기업 보유자산 매각 및 매각 후 재임차 활성화 등과 함께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동차·조선 등 주요 기간산업 협력업체의 자금조달 애로 해소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소상공인 지원에 대해서는 지난달 29일 발표한 '소상공인 2차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차질없는 집행을 독려하고 기간산업안정기금이 하루빨리 집행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신속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은성수 위원장은 "소상공인 2차 금융지원은 모두 은행권을 통해 공급되므로 저신용자 소외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며 "예정된 일정대로 상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산, 홍보 등 제반 준비를 철저히 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은행권도 정부의 의지를 믿고 산업은행과의 협업 등을 통해 기간산업을 지키는데 동참해달라"며 "고용안정조건 부과와 관련해서는 고용안정이라는 기금조성 취지를 달성하면서도 자금지원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합리적인 균형점을 찾아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