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상, '초등학생 학교 가는 길 안전대책 연구' 결과 인포그래픽ⓒ현대해상

초등학교 저학년 등교 개학을 맞아 코로나 감염뿐만 아니라 학교 가는 길의 도로횡단 시에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7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구역내 어린이 교통사고는 한 해 435건으로 차대인 사고가 87%를 차지하고 이 중 '횡단 중 사고' 비중(63.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보행사고는 처음 학교 가는 1학년이 547명(28%)으로 사상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고 유치원 때보다 1.4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보행 사망사고는 교차로에서 차량이 우회전 후 제2횡단보도에서 발생한 경우가 많았고, 사고의 주원인은 회전차량의 부주의 운전, 어린이의 무단횡단과 갑자기 뛰어나오는 행동 등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현대해상 고객DB를 분석한 결과, 횡단 사고원인은 어린이가 갑자기 뛰어나오거나 무단횡단 하는 경우가 37.7%, 회전차량에 의한 사고는 19.8%로 파악됐다.

서울·경기 60개 초등학교 1만2000명 초등학생 설문 결과, 평균 통학거리는 635m로 나타났고 1km가 넘는 비율이 8.9%이며, 평균 도로 횡단횟수는 3.8번으로 조사됐다. 1학년의 4명중 1명은 혼자서 등·하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학로에서 가장 위험한 장소로 '횡단보도', '골목길'을 꼽았고 1학년의 경우 도로횡단을 가장 불안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소에서 2051명의 초등학생 보행행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횡단보도에서 뛰는 비율이 34.3%로 나타났고, 특히 저학년은 41.5%로 높았다. 횡단보도에서 뛰는 이유는 '늦게 건너면 빨간불로 바뀔 것 같아서', '늦게 건너면 차에 부딪힐까봐', '위험지역이라서' 등으로 나타났다. 횡단보도를 뛰다가 사고가 난 경우는 걷다가 난 사고에 비해 사고 심각도가 1.6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행 진행신호로 변경될 때 바로 출발하는 경우는 저학년이 24%로 고학년보다 높고, 횡단 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는 고학년이 18.3%로 저학년보다 높게 조사됐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이수일 박사는 "처음 학교 가는 1학년의 경우 도로횡단을 가장 어려워하기 때문에 보행신호가 바뀌더라도 마음속으로 셋까지 센 후에 차를 보면서 뛰지 말고 횡단하도록 가정에서부터 교육해야 한다"며 "운전자는 어린이보호구역 내에서 우회전할 경우 횡단보도 앞에서 반드시 정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