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미래연구소

'유료방송 M&A를 통한 미디어 시장 혁신'을 주제로 한 미디어리더스포럼이 11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에서 개최됐다.

미디어 분야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성장성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디지털 대전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유료방송 구조개편 및 M&A 추진 방안이 논의됐다.

‘유료방송시장의 구조개편과 혁신 : 플랫폼사업자 2차 M&A 전망과 고려 사항’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김정현 고려대 교수는 "미디어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방향성 설정, 구체적 전략 수립, 핵심 서비스 마련, 투자자본 확보가 필요하다"면서 "하지만 현재 뚜렷한 방향성과 전략이 부재한 상황이며 투자자본 확보는 한계에 놓인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김 교수는 "유료방송 사업자들의 혁신과 가치 증진을 위해 퀀텀 점프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M&A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유료방송 M&A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생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선택"이라며 "특히 수요자인 통신3사의 관점에서는 MSO가 가진 잠재적 가치에 대한 합리적 판단이 필요하며, 공급자인 MSO 3사의 관점에서는 미래가치를 고려해 전사적 차원에서 M&A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교수는 딜라이브, CMB, HCN 등 3사의 재무상태와 방송권역을 점검, 통신3사의 8VSB와 IP망 결합을 통한 VOD 매출액 증가 시뮬레이션과 인터넷 결합상품을 통한 기대 매출액을 제시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현재의 미디어 생태계에서 유료방송시장의 M&A를 통한 ‘디지털 뉴딜’의 추진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며 "M&A 성공은 인수 대상 기업의 잠재적 미래가치를 고려해 혁신과 서비스 융합을 통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데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주정민 전남대 교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서 서울여대 임정수 교수는 "방송과 통신 기업이 내수시장만 보던 시대는 끝났다"며 " 미디어 산업의 효율화를 통한 잉여를 플랫폼 영역, 콘텐츠 영역, 그리고 소비자와 나누는 방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성장지향적 미디어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임 교수는 "산업의 효율적 가치를 공익성의 가치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주용 인하대 교수는 "유료방송플랫폼 간 M&A는 변화된 시장환경에 따라 허용하되 미디어 산업이 지향해야 할 가치를 지켜나가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유료방송플랫폼간 M&A가 거래 참여 기업들에게만 이득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에게도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하 교수는 "인수합병은 단기적으로 급격한 산업재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용자 피해를 막기 위한 수단"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유료방송 플랫폼산업의 재편을 허용해 경쟁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범수 한양대 교수는 "유료방송 시장 구조 재편을 위해 개별사업자나 시장이 아니라 전체적인 디지털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변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며 "이용자 서비스 제고, 산업 성장, 기업 시장지배력 남용 규제의 조율과 균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전 교수는 "미디어 생태계의 다양성 유지, 혁신 서비스 도입과 이용자 서비스 개선, 콘텐츠 시장의 활성화와 성장, 플랫폼 사업자 시장지배력 남용 및 불공정 거래에 대한 규제 기준 마련, 고용의 창출, 기존 서비스 결합이 아닌 신규 서비스 시장의 창출과 연동, 수익성 확보와 지속적 성장 가능성 등 다각적인 정책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유료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