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직격탄을 맞은 LCC(저비용항공사)들이 2분기 일제히 적자를 기록했다. ⓒ데일리안DB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직격탄을 맞은 LCC(저비용항공사)들이 2분기 일제히 적자를 기록했다. 이로써 LCC들은 지난해 2분기부터 5분기 연속 적자 늪에 빠지게 됐다.

14일 진에어는 2분기 별도 기준 영업손실이 596억원이라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266억원)보다 적자폭이 확대됐고 특히 올해 1분기(-313억원) 대비해서는 2배 가까이 적자 규모가 늘었다. 반면에 매출액은 2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 급감하며 10분의 1토막이 났다.

티웨이항공은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 48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257억원) 대비 적자폭이 88.7% 확대됐다. 매출액은 246억원으로 86.4% 쪼그라들었다.

에어부산도 2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 237억원, 영업손실 514억원을 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4.8% 급감했다.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219억원)보다 2배 넘게 확대됐고 1분기(-385억원)보다도 늘었다.

에어서울도 2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 63억원, 당기순손실 118억원을 기록했다. 이스타항공은 분기 실적을 공시하지 않지만 지난 3월 이후 셧다운(전면 운항 중단) 상태로 2분기에도 적자를 기록한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앞서 지난 5일 일찌감치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제주항공은 창사 이래 사상 최대 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제주항공의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은 85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274억)보다 적자 규모가 2배 급증했다. 매출액은 360억원으로 88.5% 급감했다.

이로써 LCC들은 지난해 2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5분기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가게 됐다. 일본 불매운동으로 인해 일본 노선 여객 수요가 급감하며 지난해 2분기부터 지속된 적자가 올해 코로나19 사태로 더 심화됐다.

특히 2분기에는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되며 국제선 운항을 전면 중단한 영향이 컸다. LCC 중 제주항공만 2분기 국제선을 운항했는데 그마저도 전체 국제선 82개 노선 중 3개 노선에 그쳤다. 이에 대부분 LCC들이 1월 한 달이라도 국제선을 띄웠던 1분기보다 적자폭이 대폭 늘었다.

LCC들은 하반기 들어 국제선 운항을 속속 재개하고 있다. 지난 3월 이후 국내선까지 운항을 중단하며셧다운에 들어간 이스타항공과 신생사인 플라이강원을 제외하고 LCC 5개사들은 다시 국제선을 띄우고 있다.

그러나 국제선 운항을 재개해도 한두개 노선에 그치고 있고 여객 수요가 제한적이라 실적에 보탬이 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실제로 하반기 첫 달인 7월 전국공항 국제선 여객은 22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3% 급감했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회사별 3분기 영업손실 전망치는 제주항공(-605억원), 진에어(-367억원), 티웨이항공(-510억원) 등으로 적자를 지속할 것으로 추정됐다.

LCC업계 관계자는 "3분기에도 적자폭 감소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국제선을 띄우고 있지만 미미한 수준이고 수요가 뒷받침이 안되고 있다. 코로나19가 종식돼야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