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희 의원.ⓒ

과거 국내 브라우저 시장에서 절대강자였던 인터넷익스플로어(IE)가 쇠퇴하고 구글 크롬이 과반 이상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김상희 부의장이 발표한 2020년 9월 기준 국내 브라우저 시장 점유율 현황에 따르면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는 56.93%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어 삼성인터넷이 11.4%, 애플의 사파리가 11.3% 순이었다.

국내시장에서 외산 브라우저가 차지하는 비중은 81.73%에 달한다. 반면 삼성인터넷과 네이버 '웨일' 등 국내 브라우저는 18.27%에 불과해 해외 사업자 쏠림현상이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 부의장은 "과거 IE 브라우저가 곧 인터넷 그 자체로 여겨지던 때가 있었지만 느린속도와 웹표준에 맞지않는 기술로 인해 시장에서 퇴출됐다"며 "그 빈자리를 크롬이 대체했다. 이 점을 국내 브라우저 기업들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브라우저의 쿠키 및 방문기록 등을 통해 개인의 위치, 비밀번호, 소비패턴, 정치성향 등의 개인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며 "이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도록 정부당국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