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임자산운용 소재 여의도 사옥. ⓒEBN

"사모펀드 사태 이후 회사 분위기가 을씨년스럽게 느껴질 때가 있어요."

지난해부터 발생한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해 한 증권사 관계사가 내놓은 탄식이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가는 '라임 사태'와 관련한 검찰의 압수수색으로 다소 지친 모양새다. 라임 건과 관련해 압수수색 명단에 이름만 올린 증권사도 KB증권, 신한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등 총 3곳에 달한다.

지난달 30일 서울남부지방검찰청은 오전부터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소재 신한금융투자와 한국투자증권의 본사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라임 사태 펀드 자료 확보를 위한 조치다.

앞서 남부지검은 같은달 28일 KB증권 본사를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16일에는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가 서울 중구 소재 대신증권 본사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압수수색된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3곳은 모두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판매사다.

각사별 라임 펀드 판매고는 △신한금융투자 3248억원 △대신증권 1076억원 △KB증권 681억원 △한국투자증권 483억원 순이다.

압수수색 대상 증권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외에도 △메리츠증권 949억원 △신영증권 890억원 등의 증권사가 라임자산운용의 펀드를 판매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의 라임 펀드 판매사 제재 수위 역시 검찰 조사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금감원은 지난달 29일 라임 판매사에 대한 제24차 제재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오전부터 시작된 제재심은 밤 10시께까지 지속됐지만 라임 펀드 판매사와 금감원 간의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이날 제재심은 판매사와 금감원 관계자가 참여해 문답 형태로 이뤄지는 대심제로 진행됐다.

제재심에서는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에 대한 검사결과 조치가 주류를 이뤘다. 마지막 순서였던 KB증권 심의는 시간 관계상 진행되지 못해 이달 5일 제재심으로 연기됐다.

당초 금감원은 라임 펀드 판매사 CEO에 대한 중징계를 예고한 바 있다.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기준을 마련이 요구되는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을 판매사가 위반했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에 판매사들은 CEO 중징계가 과도하다며 반발에 나섰다. 중징계 선고시 향후 3~5년간 금융권 취업이 제한되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라임, 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사태는 향후 적어도 몇 년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앞서 키코 사태가 그랬듯 어쩌면 10년 정도가 걸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