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KT가 내비게이션 데이터 공유를 위해 손을 맞잡았다.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교통 상황 예측 연구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24일 IT업계에 따르면 최근 네이버와 KT는 오는 2월 16일부터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자 이동 경로 데이터를 상호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 지도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네이버지도의 데이터와 KT의 내비게이션 서비스 원내비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방식이다.
각 회사가 공유한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없게 익명 처리한 다음 기술 연구 목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양사는 내비게이션 이용자들이 남긴 개별 차량의 이동궤적정보를 도로에 매칭해 실시간 교통정보·패턴 교통정보 등을 생성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교통정보 정밀도 향상돼 내비게이션이 예측하는 주행소요시간 등이 기존보다 더 정확해진다.
다만 이번 데이터 공유는 원자료를 서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어떻게 서비스에 적용할지는 각사의 판단에 따라 진행될 전망이다.
내비게이션 아틀란을 운영하는 맵퍼스와 네이버의 기술 전문 자회사 네이버랩스도 이용자 이동 경로 정보를 공유한다.
네이버 측은 "KT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차원이며 서비스 결합은 아니"라며 "데이터 공유를 통해 내비게이션과 이동경로 예측에 대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지난 2015년 맵피를 만든 현대차그룹 계열사 현대엠엔소프트와 제휴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출시 및 운영해왔다.
2018년 엠엔소프트와 제휴를 끝내고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서비스해왔으며 이용자 이동 경로 정보 공유도 이번에 종료하고 새로운 파트너를 맞이하게 됐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포함된 네이버 지도 앱의 월간활성사용자(MAU)는 작년 12월 기준 1568만명에 달한다. 네이버의 각 서비스를 통해 들어오는 경로 찾기 요청(쿼리)는 하루 1억건에 이른다. KT 원내비의 MAU는 107만명·아틀란은 33만명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