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의 인공지능(AI) 전담조직인 LG AI연구원이 세계적 권위의 국제인공지능학회(AAAI·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를 통해 출범 이후 첫 성과를 공개했다.

LG AI 연구원은 캐나다 토론토대학교와 공동 연구를 진행한 '설명하는 AI(Explainable AI)'와 '연속 학습(Continual Learning)' 분야 논문 2편을 발표했다.

LG는 지난 2018년 토론토대학교와 '토론토 인공지능연구소'를 설립한 바 있다. LG AI 연구원은 구광모 LG 대표 주도로 지난해 설립됐다.

‘설명하는 AI’는 단순히 결과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어떤 근거를 바탕으로 결과가 도출됐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엑스선촬영(X-Ray) 이미지를 AI가 분석한 뒤 신체 부위의 이상 유무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이유로 이상 유무를 판단했는지 설명하는 방식이다.

LG AI 연구원은 토론토대 콘스탄티노스 플라타니오티스 교수팀과 공동으로 기존 기술 대비 설명의 정확도와 충실도를 향상시켜 이를 영상 인식 분야에 활용하도록 개발했다. 구글(GOOGLE)도 초기 연구 단계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가 퍼스트무버로 나아갈 가능성이 열려 있는 분야다.

‘연속학습’은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뜻한다. 사람처럼 단기 메모리를 사용해 과거의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해 새로 학습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기술이다.

LG AI 연구원이 이번 논문에 발표한 내용은 AI가 학습할 때 사용하는 메모리는 줄이면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LG AI 연구원과 토론토대 스캇 새너 교수팀은 데이터 중요도를 측정하는 평가값인 새플리 지표(Shapley value)를 연속 학습에 적용, 기존 방식 대비 최대 40%까지 학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LG-토톤토대 공동연구팀은 지난해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회인 CVPR(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에서 개최한 ‘연속학습 기술 경연 대회’에서 아마존·중국과학원·동경대 등 79개팀을 제치고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배경훈 LG AI 연구원장은 "인공지능 분야 젊은 인재를 영입해 2023년까지 1000명을 육성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AI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LG전자·화학·유플러스·CNS 등 4개 계열사는 소프트뱅크벤처스가 조성한 3200억원 규모의 AI 펀드에 200억원을 공동 출자하는 등 관련 분야를 집중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