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고차시장이 ‘허위미끼 매물’ 등으로 ‘매우 혼탁.낙후돼 개선’이 필요하다는 설문 조사가 나왔다. 소비자들은 중고차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한 대안으로 완성차업체의 시장 진입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20~60대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중고차시장’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는 ±3.1%P)를 진행한 결과 79.9%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가장 큰 문제는 ‘허위.미끼 매물’이라는 응답이 54.4%로 절반을 넘었다. 다음으로 ‘가격 산정 불신’, ‘주행거리 조작, 사고이력 조작, 비정품 사용 등에 따른 피해’ 순이었다.
완성차업체의 중고차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설문에 참여한 56.1%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이중 매우 긍정한다는 응답은 32.9%에 달했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16.3%에 그쳤다.
그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56.3%가 ‘혼탁하고 낙후된 중고차시장을 투명하고 선진화시킬 수 있을 것 같아서’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정확한 중고차 품질, 투명한 거래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가격으로 사고 팔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국내 완성차업체의 인증중고차 판매에 대해서는 68.6%가 긍정적이라고 봤다. 매우 긍정한다가 42.6%에 달했다. 반면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8.0%에 그쳤다.
이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한 이들은 ‘국산차 소유자도 제값 받고 중고차를 팔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 때문’(47.7%)이라고 답했다. 중고차를 ‘신뢰할 수 있어서’라는 응답이 그 다음을 이었다.
완성차업체의 중고차시장 진입 허용시 최우선 해결과제를 묻는 질문에는 40.3%가 ‘중고차 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라고 대답했다.
소비자주권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완성차업체들도 ‘인증 중고차’ 형태로 판매하는 것을 허용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주권은 “국내외 완성차업체간 형평성뿐만 아니라 국내외 자동차를 매입한 소비자들간 형평성을 위해서도 이를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라며 “특히 미국과 독일에서는 대기업인 완성차 업체가 직접 중고차의 품질과 서비스를 엄격하게 관리해 중고차 경쟁이 활성화됐다”고 언급했다.
단, 국내 자동차 신차 시장은 현대차기아가 올해 9월 기준 국내 점유율 85%에 육박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중고차사업까지 독점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기존 중고차 업계와 상생방안을 찾아야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완성차 업체가 인증하는 중고차 거래비중이 전체 중고차 거래비중에서 일정한 수준에 그치도록 시장 점유율 상한을 정해 이를 지키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완성차업체는 향후 오픈 플랫폼을 통해 중고차의 품질, 평가, 가격 산정을 명확히 공개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주권은 “중소벤처기업부는 중고차 시장의 완성차 업체의 진입 문제 결정을 계속 차일피일 미루지 말고 이른 시일내에 조속히 결정해야한다”라며 “기존 중고차 업계와 완성차업계간 이해를 조정하되 소비자후생과 권익을 좀 더 제고하는 방향으로 결정해야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