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24일 경기도 김포 소재 조립식 앵글 선반 제작업체인 스피드랙을 방문했다. (왼쪽부터) 박철한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 민병호 스피드랙 회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민효기 스피드랙 대표, 배상근 전경련 전무 ⓒ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24일 경기도 김포시 조립식 앵글 선반 제작업체 스피드랙을 찾아 아마존 전용라인 준공식에 참석했다.

전경련 경영자문단의 자문을 통해 이뤄낸 성과를 격려하는 자리다.

허 회장은 "제2 제3의 스피드랙을 만드는 것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의 핵심"이라며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가 자문위원 보강과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문위원들은 경영을 해 본 분들이라는 점에서 중소기업에 필요한 현장감을 갖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들이 실효성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 회장이 방문한 스피드랙은 1979년 설립된 무볼트 조립식 앵글 선반 업체. 전경련 경영자문단이 2015년 초 자문에 참여하기 전까지 제품 기술력은 인정받았지만, 매출액 60억원대를 유지하는 중소기업이었다.

성장 기로에서 고민하던 스피드랙 민효기 대표는 전경련 경영자문단 문을 두드렸다. 이병기 롯데하이마트로지텍 前 대표이사를 비롯한 6명의 전경련 자문위원은 스피드랙의 성장통 극복을 위해 시스템 구축이 우선이라고 판단했다.

연구개발팀, 마케팅팀을 신설하고 본부장/팀장 책임경영제, 성과급 제도를 도입했다. 생산능력 확충을 위한 부지매입과 설비투자도 단행했다. 홈쇼핑 런칭(2016), ERP 도입(2018), 신제품 홈던트 런칭(2019), 스피드랙V2 런칭(2020), 싱가포르 Qoo10 진출(2020), 아마존 진출(2021) 등 고비마다 경영진과 자문단이 합심해 높은 경영성과를 거뒀다.

자문단이 참여하기 전인 2014년의 매출액은 64억원에 불과하였으나, 2016년에 100억원을 넘기고 2017년에는 250억원, 2020년에는 360억원을 돌파했다. 올해 매출 목표는 500억원.

이런 경영성과 덕분에 정부‧지자체의 각종 훈장과 표창,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 ‘브랜드K’ 선정 등 모범사례로 자리 잡았다. 이날 스피드랙은 아마존 수출 전용라인 준공식을 열고 글로벌 브랜드로 첫 걸음을 뗐다.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에 우선 집중하고, 안정화 되면 북미·유럽·일본으로 진출할 방침이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는 2004년 삼성·현대차·LG·포스코 등 주요그룹 전직 CEO 및 임원 40인이 참여한 전경련 경영자문단으로 출범했다. 1만861개 기업에 2만2265건(2004~2020년)의 자문을 제공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