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SK텔레콤 등 통신 3사 대표들이 만나 5G 활성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과기부는 28일 임 장관과 통신 3사 대표(SKT 박정호‧KT 구현모‧LG유플러스 황현식)가 5G세대 이동통신(5G) 관련 주요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간담회에서는 3.5기가헤르츠(㎓) 대역 5G 전국망 구축 추진현황과 28㎓ 대역 5G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뤄졌다.
임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5G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 2년만에 5G 가입자는 1500만명을 돌파했으며 국산 장비·콘텐츠 수출은 본격화돼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5G 가입자 증가에 따라 5G 커버리지와 품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어 5G 커버리지 확대와 품질 개선 및 28㎓ 5G 활성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통신 3사가 성장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미디어·콘텐츠‧커머스 등 사업영역을 다각화하고 있지만 모든 혁신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네트워크 고도화에도 보다 많은 관심과 투자를 당부했다.
이와 함께 현안 논의에서 5G 품질에 대한 불만을 가진 이용자가 많은 현실을 고려해 조속한 품질개선을 요청하는 한편 작년 발표된 5G망 구축 계획에 따라 오는 2022년까지 85개시를 중심으로 촘촘하게 5G망을 구축하고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농어촌 지역 투자도 차질없이 추진해줄 것을 요청했다.
통신 3사도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5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5G 커버리지 확대 및 품질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하였다.
5G 28㎓ 대역에 대해서는 참석자 모두 활성화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으며 통신 3사는 28㎓ 5G 활성화를 위해 시범 프로젝트와 지하철 와이파이 실증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28㎓ 시범 프로젝트는 지난 3월 발족한 '28㎓ 5G 활성화 전담반'을 통해 논의가 시작돼 각 통신사에서 자체적으로 장소를 선정하고 제공할 서비스를 구체화했다.
코엑스와 수원 위즈파크 등 전국 10개 장소에서 28㎓ 5G망이 시범 운영될 계획으로 일부 장소에서는 일반인들에게 28㎓ 단말기 체험 기회가 제공된다.
지하철 와이파이의 경우에도 28㎓ 5G 활성화 전담반에서 28㎓ 5G망으로 백홀을 구성할 경우 지하철 와이파이 품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의견에 따라 지하철 2호선 지선구간(신설동∼성수역)에서 실증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 실증을 시작으로 과기부와 통신 3사 및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객차 내 와이파이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 협력한다.
또한 경제위기 극복과 미래사회 선도를 위해 추진 중인 디지털 뉴딜의 성공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는 데이터 댐 구축 등 디지털 뉴딜을 통해 국민과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통신 3사는 환경문제 및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요한 가치로 떠오르고 있는 'ESG 경영' 확산을 위해 적극 나선다.
그 일환으로 올해 7월부터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사업을 추진해 도시미관 개선 및 안전한 통신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난립·노후화된 무선국을 정비해 나가기로 했다.
임 장관은 "이번 28㎓ 시범 프로젝트와 지하철 와이파이 실증사업을 계기로 기술개발과 활용 경험을 축적해 28㎓ 5G를 활성화시키고 더 나아가 6G 이후도 우리가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