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수소경제 활성화와 탄소중립 실현의 마중물이 될 민간 수소기업협의체 ‘Korea H2 Business Summit’이 8일 공식 출범했다.

기업 간 수소분야 협력을 추진하고 수소 관련 정책을 제안하는 등 국내 수소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협의체의 등장으로 국내 수소산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협의체 설립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해 온 현대차그룹은 공동의장사를 맡아 협의체 'H2 비지니스 서밋'을 이끈다. 특히, 정의선 회장은 SK그룹, 포스코그룹, 효성그룹과의 논의를 통해 설립을 본격화하는 등 수소기업협의체 출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날 열린 창립 총회에서 정의선 회장은 "우리나라는 유럽, 일본 등에 비해 수소산업 생태계의 균형적인 발전이 늦었지만,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만큼 못할 것도 없겠다는 자신감도 든다"고 말했다.

이어 "H2 비지니스 서밋이 개별 단위의 기업 경쟁력뿐만 아니라 기업, 정책, 금융 부분을 하나로 움직이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소산업 생태계의 완결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수소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리딩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일찍이 수소가 미래 사회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임을 인식하고 수소 관련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며 독보적인 행보를 이어왔다. 특히 막연히 수소의 중요성을 역설하기 보다 수소전기차, 수소연료전지 등을 직접 개발하는 등 수소의 실체화에 집중해 왔다. 모빌리티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 간 협업을 통해 수소경제의 저변을 넓히는 데도 힘써왔다.

최근 글로벌 주요국 및 기업 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소패권 확보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현대차그룹은 7일 ‘하이드로젠 웨이브’ 행사를 개최하고 ‘수소비전 2040’을 발표하며 수소에너지의 대중화를 선언했다.

이 같은 수소사회 비전 달성을 위해, 현대차그룹이 우선 추진하는 키워드는 '수소전기 상용차 대중화'다.

현대차그룹은 2028년까지 모든 상용차 라인업에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다. 특히 향후 새로 출시되는 모델은 수소전기차와 전기차로만 출시한다. 이는 글로벌 자동차 업계 최초의 시도로, 배출가스를 획기적으로 저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전기 승용차도 지속적으로 선보인다. 현대차의 경우 현재 1종인 수소전기차 RV 라인업을 점진적으로 3종으로 확대하며, 제네시스도 2025년부터 수소전기차 신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트램, 기차, 선박,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다양한 이동수단은 물론 주택, 빌딩, 공장, 발전소 등 수소연료전지의 적용 영역을 산업 전반으로 더욱 확대한다. 수소 생태계 확대를 위해 타사의 모빌리티에도 연료전지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도록 시스템과 기술을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수소 밸류체인 전 영역으로 사업 확대… 새로운 수소 혁신 도전

현대차그룹은 주요 계열사들을 중심으로 수소의 활용을 넘어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공급 등 수소 밸류체인 전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그동안 불모지로 여겨지던 수소 관련 분야를 선도적으로 개척해 온 현대차그룹이 또 한번의 새로운 혁신에 나서는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수소연료전지 제품 경쟁력 강화 및 양산 효율화에 주력한다. 이를 위해 1조3216억원을 들여 인천 청라국제도시 IHP 도시첨단 산업단지와 울산 이화 일반산업단지에 수소연료전지 생산을 위한 신규 거점을 구축, 올해 하반기 착공에 들어간다.

가동 시점은 오는 2023년이며, 글로벌 수소연료전지 공급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현대모비스는 다양한 모빌리티 등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수소연료전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현대제철은 현재 99.999% 순도의 부생수소를 연간 3,500톤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2024년 연간 2만톤, 2030년 10만톤 규모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SCM(공급망관리) 전문 기업의 특성을 살리는 데 주력한다. 국내 최초로 수소 공급망 최적화 플랫폼을 개발, 수소 생산자와 충전소간 실시간 수소 생산/소비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소에너지네트워크, 수소유통센터 및 지자체 수소충전소로의 수소 공급사업을 확대한다.

현대로템은 향후 수소전기열차 수요에 대응해 수소전기트램, 수소전기기관차, 수소전기고속철 등 다양한 차종을 개발하고 있으며,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장치인 수소추출기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등 수소 충전 인프라 사업 고도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향후 수소충전소 구축에 필요한 설계, 구매, 시공 등 토탈솔루션을 제공하고, 수소전기트램과 수소충전소를 패키지로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그린수소 생산, 수소액화, 수소연료전지발전을 핵심 사업분야로 선정하고 핵심기술 확보, 전문 인력 충원, 글로벌 선진 기술사와의 협업을 통해 EPC(설계·조달·시공) 사업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향후 수소 플랜트 EPC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을 목표로 최근 EPC가 연계된 FEED(기본 설계)에 주력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그린수소 및 에코에너지 분야의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에코 에너지 플랜트 기업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다가올 수소 사회의 미래성장 동력을 마련하고자 한다. 캐나다 초소형원자로(MMR) 사업, 새만금 그린수소 밸류체인 공동연구 등을 통해 그린수소 생산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부생수소 생산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 기술 확보 및 부생수소 생산용 플랜트 건설도 추진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