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4일 윤종인 위원장과 이원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이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있는 컴트루테크놀로지를 방문해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개발 스타트업 챌린지 시상식을 갖고 개인정보 톡톡릴레이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스타트업 챌린지는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는 신기술이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우수 기술을 보유한 새싹기업과 중소기업을 발굴할 목적으로 진행된 행사다. 컴트루테크놀로지를 비롯한 총 3개 사가 선정됐다.
최우수상인 개인정보보호위원장상을 수상한 컴트루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서류 중에서 개인정보가 포함될 확률이 높은 신분증, 주요 증명서 등을 자동 분류해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는 기술을 제안했다.
우수상인 한국인터넷진흥원장상은 데이타스와 센스톤이 수상했다. 데이타스는 가명처리 대상식별, 재식별 위험성 평가, 재현데이터 생성 등 가명처리 전 과정을 지원하는 개인정보 가명·익명조치 통합관리 기술을, 센스톤은 일회용 사용자 인증 코드(OTAC)를 이용한 IoT 기반 스마트 인증기술을 제안했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내년 신규 R&D 예산으로 30억원을 확보했다. 신기술 변화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와 안전한 활용을 지원하는 우수기술에 지속적으로 R&D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시상식 이후 진행된개인정보 톡톡릴레이에서는 스타트업 챌린지 수상기업 3개 사 대표와 동형암호 및 양자내성암호 등 암호분야 강소기업 크립토랩 대표가 참여해 개인정보 보호 기술 소개와 기술개발(R&D)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석자들은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비대면의 확대로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정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제도와 균형을 이루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현재 개인정보 보호·활용 분야의 시장은 초기 단계로 정책적인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개인정보 톡톡릴레이에서 나온 주요 의견은 개인정보 보호·활용 R&D 로드맵에 반영될 예정이다.
윤 위원장은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보호의 컨트롤타워로서 개인정보의 실효적 보호를 위한 제도 마련과 함께 제도를 뒷받침하는 기술개발과 보급·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핵심기술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