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지난 15년간 선정한 167개 혁신기업 가운데 한국 기업은 4곳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6일 전경련에 따르면 BCG는 2005년부터 매년 가장 혁신적인 기업(Most Innovative Companies) 50개사를 선정한다.

15년간 최소 한 번 이상 혁신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총 167개사. 미국 82개사, 영국 12개사, 독일 12개사, 일본 11개사, 중국(홍콩 포함) 10개사, 프랑스 5개사, 한국 4개사 등이다.

한국의 경우 삼성전자가 매년(15회) 선정됐다. 이어 LG전자가 8회, 현대자동차가 4회, 기아가 2회 리스트에 올랐다.

▶ ⓒ전경련

전경련은 혁신기업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글로벌 매출 500대 기업을 비교대상으로 설정했다. 올해 혁신기업으로 선정된 50개사의 평균 자산은 500대 기업 평균의 절반(0.5배)이지만, 매출은 1.2배, 영업이익은 1.8배, 고용은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기업이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매출·영업이익·일자리 창출 등 경영성과가 우수했다.

혁신기업은 소위 ‘잘 나가는’ 기업인 글로벌 매출 500대 기업보다 연구개발(R&D)·설비투자·인수합병(M&A)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생산성 또한 높았다. 혁신기업의 R&D집약도(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는 10%로, 500대 기업(3.5%)보다 2.9배 높았다. 혁신기업은 현금성자산 보유분의 22%를 설비투자에 지출했다. 이는 500대 기업(10%)의 2.2배 수준이다.

▶ ⓒ전경련

혁신기업의 과거 5년간(’16~’20년) M&A 횟수는 평균 10.7회로 500대 기업 평균(4.8회)의 2.2배, 영업이익을 고용인원으로 나눈 1인당 생산성은 혁신기업(6.1만 달러)이 500대 기업(4.7만 달러)보다 1.3배 높았다.

올해 혁신기업 명단에 새로 진입한 5개 기업 중 3개가 애보트(Abbott Laboratories), 모더나(Moderna),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등 바이오·제약기업이다.

전경련 기업제도팀 유정주 팀장은 "한국에서 새로운 혁신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 설비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늘리고 투자와 인수합병을 저해하는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며 "올해 혁신기업 명단에 새로 진입한 5개 기업 중 3개가 바이오⸱제약업종인 만큼 유망 산업에 대한 집중 지원도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