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본사 그린팩토리.ⓒ네이버

네이버는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HCLT) 2021에서 다양한 한국어 처리 기술과 연구 성과를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매년 한글날 전후로 개최되는 HCLT는 한국어 처리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대회다. 네이버는 국내 대표 AI 기술 플랫폼 기업으로써 2014년부터 꾸준히 한국어 처리 기술 관련 최신 연구 성과를 이 자리에서 공유하고 있다.

한국어 처리 기술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인 한국어를 컴퓨터가 이해하도록 만드는 기술로 네이버 검색의 핵심 기술 중 하나다.

특히 올해 네이버가 HCLT에 발표한 논문은 총 15건으로 전년 대비 2.5배 증가하는 성과를 올렸다. HCLT 2021에서 채택된 네이버의 연구 논문은 언어 처리 신뢰성, 기계 학습, 질의응답, 정보 추출, 언어 처리 응용, 대화 시스템, 온톨로지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그중에는 한국어 초대규모 한국어 AI '하이퍼클로바' 등을 개발하기 위해 수년간 진행해온 연구 과정과 성과들도 포함됐다.

네이버는 이번 학회 발표를 통해 네이버의 독보적인 한국어 처리 기술 및 연구 수준을 선보였을 뿐 아니라 외부 연구자들과 활발히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국내 AI 연구 수준 향상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네이버가 HCLT에서 발표한 연구 중 일부는 네이버 검색 서비스에 적용돼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강인호 네이버 서치 CIC 책임리더는 "독보적인 한국어 정보 처리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한편 글로벌 빅테크와 경쟁하는 AI 기술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연구 개발에도 정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한국어 AI 기술 개발로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수준의 인프라, 데이터,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AI 리더십을 확보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아시아와 유럽, 미국을 잇는 글로벌 R&D 벨트를 확장시키며 세계 전역의 우수한 연구진과 협업하며 기술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 세계 최고 권위의 머신러닝 및 AI 학회 'NeurIPS(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 2021'에서도 8개 논문이 채택된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