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내년 경영계획 기조를 주로 ‘현상유지’(53.5%) 또는 ‘긴축경영’(22.9%)으로 정한 반면 ‘확대경영’으로 정한 곳은 23.6% 수준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경총)가 전국 30인 이상 기업 243개사를 대상으로 '2022년 기업 경영전망'을 조사한 결과다.
응답 기업의 64.6%는 내년 경영계획 ‘최종안을 확정(11.1%)’했거나, ‘초안은 수립했다(53.5%)’고 답했다. 35.4%는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긴축경영’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의 구체적 추진계획 중 ‘원가 절감’이 80.6%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최근 불거진 공급망 쇼크, 원자재 가격 급등, 임금인상과 같은 이슈로 기업들이 원가 절감을 긴축경영의 최우선 순위로 꼽은 것.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투자 및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올해(2021년) 수준’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투자나 채용을 확대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25%에 불과했다.
투자계획은 '올해 수준’이라는 응답이 53.5%로 가장 높았다. 올해 대비 ‘투자 확대’는 24.9%, ‘투자 축소’는 21.6%로 집계됐다. 채용계획은 '올해 수준’이라는 응답이 63.7%, ‘채용 확대’ 25.4%, ‘채용 축소’는 10.8%로 조사됐다.

경총 경제조사본부 이상정 선임위원은 내년 투자·채용계획을 ‘금년 수준’으로 응답한 기업이 많은 것에 대해 “올해 4% 수준의 경제성장을 경기회복 신호보다는 지난해 역성장(-0.9%)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반등으로 보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향후 디지털 전환(ICT 기반 무인화·자동화·무점포)에 따른 전반적인 인력 수요 변화에 대해 어떻게 예상하는지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27.8%가 ‘인력 수요 감소'를 예상했다. 특히 이러한 응답은 300인 이상 기업에서 31.6%(300인 미만 기업 26.1%)에 달했다.
응답 기업의 61.8%는 ‘디지털 전환이 발생해도 증감요인이 상쇄돼 인력 수요는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 전망했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업 영역 및 기회 확대로 인력수요 증가 예상’이라고 답한 기업은 10.4%에 불과했다.

조사 대상기업 관계자들은 내년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평균 2.7%로 전망했다. 이는 국내외 주요기관들이 전망한 내년 경제성장률 3% 수준에 비해 다소 낮은 수치다.
이상정 선임위원은 “코로나 변이바이러스(오미크론) 확산과 함께 공급망 불안 지속, 원자재가격 변동성 확대 같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기업들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응답 기업들은 내년 근로자들(노조)이 임금 등 처우개선과 관련해 ‘높은 임금인상’(39.7%), ‘성과평가 기준 개선 등 보상의 공정·합리성 확보’(38.4%)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높은 임금인상 요구는 ‘기업실적 향상’(11.5%) 때문보다는 ‘근로자(노조)의 관성적 요구’(42.7%)와 ‘최저임금 인상’(39.6%)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한국경제를 제약하는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해 응답 기업의 39.1%는 ‘기업 활력을 저하시키는 각종 규제적 정책’을 지적했다. 이 외 응답은 ‘저출산·고령화, 양극화 심화 같은 사회·구조적 문제’ 25.1%,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와 신성장동력 부재’ 19.3%, ‘높은 세율, 반기업정서 만연 등으로 인한 기업가정신 위축’ 15.2% 순으로 답했다.

차기 정부의 세제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54.5%가 ‘경제활성화, 국민부담 경감을 위한 감세 정책’이라고 응답했다. ‘증세·감세 논의보다는 비과세·감면 축소, 면세점 조정과 같은 세제 합리화가 더 시급하다'는 응답은 33.5%로 나타났다. ‘복지 재원 확충을 위한 증세 정책’이라는 응답은 1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들은 기업의 투자 촉진을 위해 차기 정부가 우선순위를 둬야할 정책으로 ‘규제 혁신’ (49.4%), ‘기업 세제환경 개선’(44.4%), ‘노동분야 개혁’(41.6%)를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