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베이거스(미국) = 김덕호 기자] 현대자동차는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2'에서 과거에서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로보틱스 기술을 공개했다.

이날 최초로 공개된 PnD 모듈은 이번 현대차 전시의 핵심을 이루는 로봇이다. 인휠(In-wheel) 모터와 스티어링, 서스펜션, 브레이크 시스템 및 환경 인지 센서를 하나의 구조로 결합한 일체형 모빌리티 솔루션이다.

PnD 모듈은 'Plug and Drive' 라는 이름에 걸맞게 어떤 사물에든 결합해 사물에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결합하는 기기에 따라 그 크기와 개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MoT 시대의 핵심 솔루션이다.

특히 모듈이 계속 회전해도 내부 전선이 꼬이지 않는 '스티어링 액추에이터(Steering Actuator)' 기술이 적용돼 360° 회전은 물론, 피겨 스케이팅을 하는 것 같은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다.

▶ 5.5인치 휠을 적용한 PnD 모듈ⓒEBN

현대차는 CES 2022에서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모빌리티 △로지스틱스 모빌리티 △L7 등 PnD 모듈을 적용한 네 가지의 어플리케이션 콘셉트 모델을 전시했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5.5인치 휠의 PnD 모듈 네 개를 탑재한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다. 너비 133cm, 길이 125cm, 높이 188.5cm의 크기이며 사람이 한 명 탑승해 라스트 마일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PBV(Purpose Built Vehicle)다.

회전식 개폐 방식을 적용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스티어링휠이나 페달 없이도 좌석 우측에 설치된 스마트 조이스틱으로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하다.

로지스틱스 모빌리티는 5.5인치 PnD 모듈 네 개가 탑재된 플랫폼이다. 너비 130cm, 길이 110cm, 높이 180cm의 크기로 개발됐으며, 서랍처럼 수납 공간이 열리고 닫히는 형태다.

서비스 모빌리티는 호텔 등에서 고객의 짐을 운반하는 경우, 로지스틱스 모빌리티는 물류창고 등에서 물건을 나르는 경우에 활용 가능하다.

▶ L7 콘셉트ⓒEBN

L7 콘셉트는 12인치의 확대된 PnD 모듈이 적용된 모빌리티다. 너비 140cm, 길이 190cm, 높이 70cm로 사람 한 명이 앉을 수 있는 크기다. 퍼스널 모빌리티와 유사하게 시트를 회전시켜 탑승자가 쉽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했으며 조이스틱으로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하다.

향후 현대차는 이동성이 없는 다양한 사물에 PnD 모듈을 적용해, 궁극적으로 모든 사물이 이동의 자율성을 갖는 MoT(Mobility of Things)를 시대를 연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