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종희 삼성전자 DX(디바이스 경험)부문장 부회장이 삼성 TV에 LG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탑재 가능성을 내비쳤다. 또 적극적인 인수합병(M&A) 의지를 드러내며 "조만간 좋은 소식이 나올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한종희 부회장은 5일(현지시각) 세계 최대 정보통신기술(ICT)·가전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2′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LG디스플레이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탑재 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있다"라고 말했다.
사실상 LG OLED 패널을 사용한 삼성 TV가 나올 수 있다는 얘기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한 부회장의 이번 입장 발표를 통해 삼성전자가 사실상 LG디스플레이와 WOLED 패널 거래를 눈앞에 두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QD디스플레이(QD-OLED)의 TV 라인업 추가를 공식적으로 밝힌 만큼, 또 다른 OLED로 사업 확장을 구상하고 있다는 얘기다.
한 부회장은 QD디스플레이 TV를 CES에서 공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원하는 수량이 나오지 않아 전시에서 뺐다. 수량이 확보되면 소개할 것이다"라며 "QD디스플레이 TV는 마이크로LED와 네오QLED의 중간 프리미엄 위치로 보면 된다"고 전했다.
한 부회장은 대규모 M&A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는 뜻을 전했다.
그는 "대형 M&A의 경우 부품과 세트 부문을 나눠서 중장기와 단기 가능성을 크게 열고 많이 보고 있다"며 "조만간 좋은 소식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고 있는 대상 중 어떤 것이 먼저 성사될지 모르고 아직 단계가 남아있다"며 "혼자 걸어가는 것보다 M&A를 통해 가는 것이 빠르면 그것을 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반도체를 비롯해 바이오 기업 등 신성장 사업에 대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 부회장은 생활가전과 모바일 사업을 통합, DX부문을 만든 배경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다"라고 했다.
그는 "(맞춤형 생활가전) 비스포크를 통해 시장 패러다임을 바꿨고, 고객 이탈을 막는 락인(lock-in·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소비자를 묶어두는 것)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통합된 DX부문 체제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차별화된 고객 경험 창출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향도 공개했다. 한 부회장은 "삼성전자의 강점인 광범위한 제품과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고객 중심의 경계 없는 혁신을 실천하겠다"며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봇 등 미래 핵심 기술과 친환경 기술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