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케미칼이 에너지소재사업 성장에 힘입어 연간 최대 경영실적을 달성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1217억원으로 전년보다 101.9%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매출액은 1조9895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늘었다.
포스코케미칼은 에너지소재·라임케미칼·내화물 전 사업 부문에서 실적 호조를 보이며 연간 기준으로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도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에너지소재사업에서는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판매량이 증가했다. 리튬, 니켈 등 원료가격 상승이 판매가에 반영되며 매출액이 전년보다 59.7% 늘어난 851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포스코ESM을 합병하며 양극재 사업에 처음 진출한 2019년의 양·음극재 매출액 2190억원과 비교해 2년만에 289% 증가한 수치다. 전체 사업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 역시 같은 기간 14.8%에서 42.8%로 증가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라임케미칼 사업에서는 조강생산량 증가에 따른 라임(생석회) 제품 판매확대와 유가 상승으로 콜타르, 조경유 등의 제품 판매 단가가 오르며 매출이 전년 대비 16.4% 증가한 6753억원을 기록했다. 내화물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4625억원이다.
전극봉과 인조흑연 음극재의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생산하는 자회사 피엠씨텍은 전기로 가동률 상승에 따른 제품 수요 증가로 매출액이 전년 대비 53.7%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22.1%을 기록했다.
양·음극재 사업 투자 확대에도 성공적인 유상증자를 통해 부채비율은 60.9%로 전년 104% 대비 43.1%p 감소했고 현금성 자산이 1조3512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재무건전성을 강화했다는 설명이다.
포스코케미칼 측은 향후 전기차시장이 성장하며 배터리소재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특히 주행거리 증대를 위한 차세대 소재의 수요 역시 높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회사는 오는 5월 세계 최대 규모인 연산 9만톤의 양극재 광양공장을 종합 준공하고 북미, 중국, 포항에 양극재 공장을 신·증설하는 등 글로벌 양산거점 구축에 나선다.
음극재는 전기차용 저팽창 천연흑연 생산 설비를 증설하고 인조흑연 음극재도 본격 생산을 시작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 올해 양극재는 연산 10만5000톤, 음극재는 8만4000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