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유일 반도체 웨이퍼 제조기업 SK실트론이 구미국가산업단지 3공단에 3년간 총 1조495억원을 투자해 최첨단 반도체 웨이퍼 공장을 증설한다.
SK실트론은 글로벌 웨이퍼 시장의 선두주자로 도약하기 위해 300mm 웨이퍼 증설 투자를 결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장용호 SK실트론 사장은 "이번 증설 투자는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민첩한 대응을 위한 도전적 투자"라며 "글로벌 반도체 회사들과의 협업을 통한 기술 혁신으로 고품질 웨이퍼 제조 역량을 갖춰 글로벌 리더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실트론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웨이퍼 증설 투자 예산안을 결의했다. 공장 증설 부지 규모는 4만2716m²(1만2922평), 상반기 기초공사를 시작해 2024년 상반기 양산이 목표다. 향후 1000명 이상의 직원을 채용할 예정이다. SK실트론의 이같은 투자 결정은 구미 지역의 경제 활력을 제고하는 한편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SK의 이번 투자 결정은 세계 반도체 시장의 웨이퍼 수요 급증과 고객사의 공급 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다.
최근 데이터 센터에 대한 투자가 지속 확대되고, 반도체 사용이 많은 5G·전기차 시장 성장으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반도체 부족 전망이 잇달아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반도체 제조사들이 공격적으로 설비 투자를 단행하는 가운데 웨이퍼 산업도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상무부는 150개 반도체 공급망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면서 반도체 부족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웨이퍼 공급 부족"을 꼽았다.
웨이퍼는 반도체 기판을 만들기 위한 핵심 소재다. 반도체 생산을 대규모로 확대할 경우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될 수 있는 분야다. 현재 웨이퍼 시장은 매출액 기준 세계 주요 5개 제조사가 전체 시장의 94% 이상을 차지한다. 이 중 국내 기업으로는 SK실트론이 유일하다.
글로벌 웨이퍼 제조사들은 2026년까지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간 경쟁도 치열한 상황이다. 독일 정부는 반도체 기술 안보를 이유로 대만 글로벌 웨이퍼스의 자국 기업 실트로닉 인수 계약을 승인하지 않아 인수합병이 무산됐다.
SK실트론의 대규모 투자 배경은 시장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SK실트론은 수요 증가로 지난 2년 동안 매월 최대 물량을 생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