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백화점 소공동 본점.

국내 백화점 3사가 올해 실적에서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엔데믹으로 외출을 재개하면서 의류 판매량이 급증해 실적 상승이 가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해외 여행이 본격 재개하기 전까지 패션 등 고마진 소비재 판매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올해 3사가 연 매출 15조원을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 봤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올해 1분기(1~3월)에 매출 7400억원, 영업이익 1050억원의 경영 실적을 달성했다. 매출은 지난해 1분기보다 9.4% 올랐고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6% 상승했다. 현대백화점 1분기 매출은 5433억원, 영업이익은 1027억원으로 같은 기간 각각 9.2%, 35.2% 증가했다. 신세계백화점 1분기 매출은 1년 전보다 18.7% 오른 5853억원, 영업이익은 47.6% 뛴 1215억원으로 집계됐다.

백화점 3사 실적 개선은 오미크론 확산세 이후 소비 심리가 대폭 개선된 점이 주효했다. 특히 엔데믹을 앞두고 패션, 스포츠 등의 상품군 실적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백화점은 해외패션 23.4%, 남성·스포츠·아동 부문에서 7.3%의 성장률을 보였고 현대백화점은 국내패션부문서 10% 이상의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분석됐다. 신세계백화점은 특히 골프웨어와 아웃도어가 각각 54.6%, 28.6%의 성장률을 보이며 실적을 밀어 올렸다.

지난해 백화점 3사 실적을 지탱했던 가전은 이번에 힘을 쓰지 못했다. 코로나19 첫 해인 2020년에 전년 대비 30%대 성장률을 보인 데 이어 지난해에는 33%~49.5%의 증가율을 기록했지만 올해 1분기는 6%대 상승에 그쳤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2년간 보복소비 일환으로 가전소비가 있었는데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상승세가 한풀 꺾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연합뉴스

이번 2분기에도 패션 매출이 실적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해외 여행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는 6월 말에도 백화점이 1분기 정도의 견조함을 유지한다면 업황 피크 아웃에 대한 우려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앞선 4월에 이어 이달 5~8일 황금연휴 당시 백화점 3사 패션 부분 매출은 55%~75% 늘어났다.

이진협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최근 매크로 환경 부담으로 백화점 업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나 4월과 5월 모두 두 자리 수 이상의 기존점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우려 대비 견조한 업황"이라고 평가했다.

업계에서는 하반기 전망에도 기대감을 높여가고 있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연말 수요가 몰리는 4분기에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낼 수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연말에는 패션, 명품, 가전 매출이 고루 뛰어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롯데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도 하반기 견조한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3사 총 연 매출은 15조원을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거론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리오프닝이 시작되면서 소비심리가 본격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면서 "하반기부터는 점진적인 인·아웃바운드 관광객 증가로 외형이 성장, 이에 따른 손익 개션 효과까지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 신세계백화점 본점.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