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에서 5G 서비스 등에 대한 평가를 강화한다고 2일 밝혔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체감하는 통신서비스 품질 향상 및 사업자 투자 확대 등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5G 서비스는 보다 촘촘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 품질평가 대상 지역을 전국 85개 시 전체 행정동 및 주요 읍면 지역으로 확대하고, 전국의 모든 지하철과 고속철도 및 고속도로 전체 노선·구간에 대해 품질평가를 추진한다.
농어촌 지역도 이동통신 3사 공동이용망 상용화 일정을 고려해 하반기 시범 측정 후 내년부터 본격적인 평가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실내 체감품질 향상 및 음영 해소를 촉진하기 위해 기존 주요 다중이용시설 외에도 전국 85개 시 전체 행정동 및 주요 읍면 지역의 모든 중소시설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을 선정해 5G 접속가능 여부를 점검한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 주요 거주지역과 대학교 주요 건물 실내 등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출입 가능한 아파트 댁내에 대해서도 시범 측정을 추진한다.
또 지하철, 고속도로 등의 경우 출·퇴근 시간 등 다양한 시간대에 걸쳐 보다 면밀히 측정한다. 측정 속도는 하위 30%, 중위 40%, 상위 30% 등으로 구분해 분석‧발표하는 등 이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LTE 서비스는 여전히 국민 다수가 이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지속적인 품질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도시‧농어촌, 취약지역 등을 포함해 전국을 대상으로 엄격하게 평가한다. 와이파이와 유선인터넷에 대해서도 버스 와이파이 및 2.5G·5G·10G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신규 추진한다.
2022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는 오는 12월 종합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객관적인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및 품질 정보를 제공해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돕고 사업자의 투자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 품질평가를 추진하고 있다"며 "평가대상 지역 확대, 실내망 점검 강화 등 정책적 노력이 5G 등 통신서비스 이용자 체감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