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업별 주요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업 네트워크 '민간R&D 협의체'를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첨단바이오, 미래모빌리티, 디지털전환 5개 분야 협의체로 확대 개편한다고 10일 밝혔다.
산업별 민간R&D 협의체는 민간기업 주도로 산업계의 기술개발 수요를 발굴해 정부에 제안하는 상설 협의체다. 산업 분야별 주요 기업의 기술임원(CTO)들이 협의체 위원으로 참여한다.
최근 코로나19 및 공급망 위기 등 대외요인으로 민간기업의 투자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과학기술정책 전문가들은 민간의 투자역량을 제고하고 국가 R&D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시적인 민·관 협업체계를 활용, 효과적인 협업투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시기적 요구를 고려해 기존 탄소중립, 스마트센서 2개 산업분야에 대해서만 운영 중이던 민간R&D 협의체를 5개 산업분야로 확대했다. 협의체마다 산업 특성을 반영해 하위 분과를 구성했으며, 분과마다 10개 내외의 기업들이 참여해 총 12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각 협의체는 지난 4월부터 기술 동향 분석, R&D 투자 수요 발굴 등 본격 운영에 착수했으며,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간사기관으로 참여해 전반적인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민간R&D협의체는 지난해 1월 범국가적 기술 이슈인 기후변화 대응,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출범했다. 이후 60건의 단기 R&D과제와 94건의 중장기 전략과제를 발굴해 정부에 제안했다. R&D를 수행하는 주요 정부부처는 민간R&D 협의체가 제안한 기술개발 수요를 2022년도 신규 사업 기획 시 반영해 약 530억원을 신규 투자했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민간R&D 협의체를 통해 민간의 기획·관리·평가 방식으로 국가 과학기술 시스템을 재설계해 R&D 투자를 효과적으로 추진한다면, 과학기술 5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