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8월 국가첨단전략산업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주요 광역지자체들의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경쟁이 뜨겁다. 새 정부가 이른바 'K-반도체' 육성을 목표로 조만간 반도체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인 가운데 광역지자체들은 '반도체 산업 1번지'를 외치며 반도체 거점 도시화 대열 합류를 열망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공장이 일자리 창출과 지역 활성화 핵심 요건으로 각광받으면서 주요 광역지자체들의 민심 잡기용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전이 한층 치열해졌다.
13일 반도체 업계 등에 따르면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난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차 민선 8기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반도체 특화단지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김 지사는 "국민의힘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반도체 특화단지는 반드시 지방으로 와야 한다"고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이어 그는 "(반도체 특화단지 지방 유치를 위해) 홍준표 대구광역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반도체 동맹' 참여 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역시 광주·전남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 추진 의지를 밝혔다.
강 시장은 지난달 20일 한 중앙일간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지방소멸을 극복하기 위해 '영호남 반도체 동맹'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 전남도와 광주시는 지역상생 균형발전 1호 공약으로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사업'을 내세우기도 했다. 이를 위해 전남 장성 인접지역에 991만7355㎡(300만평) 규모의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전남도와 광주시는 조만간 전남·광주 반도체산업 육성 방안과 인력 양성 계획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인재 양성 지역 대학으로는 전남대 등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최근 유성구 용산동에 있는 반도체 부품업체 MKS에서 진행한 지역 반도체 기업·전문가 현장 간담회에서 반도체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100만평 규모의 반도체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동시에 인재 육성과 테스트베드 구축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 시장은 "100만평 규모로 반도체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1984년 벨기에·네덜란드·프랑스가 공동 설립한 유럽 최대규모 반도체 연구소인 IMEC 사례를 벤치마킹해 반도체 공정장비용 핵심 부품 평가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기업이 필요로 하는 소재·부품·장비 관련 학과를 개설하는 등 인재 양성 방안을 지역대학들과 협의하겠다"며 "반도체 분야 전문역량을 갖춘 청년 인재들이 대전을 찾을 수 있도록 주거·교통 인프라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