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기아 양재사옥ⓒ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반도체 공급난과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인한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 속에서도 올해 2분기에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다만 하반기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 따른 우려도 제기된다.

22일 기아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1조8760억원, 영업이익 2조234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3%, 50.2% 증가한 수치다.

앞서 전날 현대차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5조9999억원, 영업이익 2조9798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는데, 매출액은 18.7%, 영업이익은 58.0%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현대차와 기아가 2분기에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한 배경에는 고부가가치 차량을 많이 파는 믹스(차종별 구성 비율) 개선과 우호적 환율 및 인센티브 축소 효과에 따른 영향이 크다.

실제 현대차·기아 모두 부품난 등으로 판매량은 감소했지만, 이 같은 효과로 실적개선을 이뤄냈다. 먼저 현대차의 2분기 글로벌 판매 실적은 총 97만6350대로 차량용 반도체 및 기타 부품 공급 차질에 따른 생산 부족 영향 지속으로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5.3% 줄었다.

기아 역시 부품 공급 차질 등에 따른 영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한 73만3749대를 기록했다.

반면 생산 차질로 인한 대기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현대차의 국내 시장 기준 미출고 물량은 6월 말 기준 64만 대에 달하며, 기아 역시 국내 주문 물량만 51만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기아는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반도체 부분에 대한 이슈가 있고 국제적 상황 발생으로 당초 330만대를 생산 계획했으나 실제 상반기 19만대 생산 차질 있었다”며 “하반기는 상반기보다는 낫겠지만 일정 부분 생산 차질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현대차·기아는 올 하반기에 반도체를 비롯한 부품 수급 상황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만큼 공급을 확대하는 동시에 가용 재고 및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해 판매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있어 전기차 라인업 강화와 생산력 확대를 추진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하반기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가 예상되며, 지정학적 리스크, 원자재 가격 급등, 코로나19 재확산, 인플레이션 확대 등의 우려로 장밋빛 전망을 기대하긴 어렵다”면서도 “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과 개선된 브랜드 및 상품성을 통한 점유율 확대로 수익성도 극대화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현대차 #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