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내림세로 돌아선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가격 하락 폭이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해까지 월 최고 2%대 중반의 급등세를 보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7일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월간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값은 2019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35개월간 상승세를 유지하다가 지난 6월(-0.04%) 3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지난달에는 0.12% 떨어져 전월 대비 하락 폭이 3배로 커지면서 2019년 6월(-0.1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대 하락 폭을 보였다.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연간 상승률이 25.42%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 줄어든 주택 공급과 저금리,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던 2002년(29.27%) 다음으로 높았다.
특히 지난해에는 △2월(2.32%) △3월(2.38%) △6월(2.42%) △8월(2.50%) △9월(2.43%) 등 수도권 아파트값 평균 상승률이 2% 중반에 달할 정도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16.40%)은 2006년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경기(29.33%)와 인천(32.93%)은 각각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1986년 이래 역대 최고 상승률을 나타내기도 했다.
작년 11월 전까지만 하더라도 기준금리 연 0%대의 저금리가 유지된 데다 집값 급등세가 지속되면서 불안을 느낀 무주택자들이 대출을 받아 경기·인천 지역의 집을 사는 '탈서울 내 집 마련 행렬'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정차 지역 발표에 따른 교통개발 호재도 이들 지역 아파트값 상승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기준금리가 계속 인상되자 올해는 상황이 달라진 것이다.
경기도와 인천의 아파트값은 지난달 각각 0.15%, 0.38% 떨어져 전달의 0.05%, 0.43% 하락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내려 앉았다. 다만 서울은 상승세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지난달(0.03%) 상승 폭이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축소되는 등 약보합세를 보이고있다.
작년 말과 비교해 올해 1∼7월 서울시는 성북구(-0.30%), 인천시는 연수구(-0.50%)·남동구(-0.12%)·서구(-0.18%)의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는 안양시 동안구(-2.27%), 수원시 영통구(-2.26%), 화성시(-2.20%), 의왕시(-1.28%), 광명시(-1.14%), 수원시 권선구(-1.07%) 등의 아파트값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전문가들은 GTX 호재가 과도하게 반영된 수도권 외곽 지역의 아파트값이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이자 상환 부담 등의 영향으로 조정 국면에 들어선 것이라고 분석한다. 또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 가능성도 커지면서 아파트 매수 심리 위축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값 급등의 특징은 서울에서 '비강남의 반란', 경기·인천에서 GTX 호재 기대감에 따른 '탈서울 내 집 마련'으로 요약할 수 있다"며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는 말처럼 지나치게 많이 오른 수도권 아파트값이 금리 인상과 맞물려 조정을 받는 '변동성 쇼크장'이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