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카드·증권사 등 2금융권에서 취급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연체 잔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13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보험사와 증권사, 카드사의 연체 잔액과 연체율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권별로 보면 보험사의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3월 말 기준 42조2472억원으로 금융권에서 가장 많았다.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1298억원으로 작년 말(305억원)의 4배 이상 뛰었다. 연체율은 3월 말 기준 0.31%로 작년 말(0.07%)보다 0.24%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보험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감소했다. 고정이하여신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을 의미한다.
3월 말 보험사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잔액은 192억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05로 각각 작년 말보다 113억원, 0.02%포인트 줄었다.
3월 말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조1760억원이었다. 같은 기간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3월 말 기준 1968억원으로, 작년 말(1691억원)보다 1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1.0%포인트 늘어난 4.7%로 집계됐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모두 증가했다. 3월 말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보다 29.8% 늘어난 3459억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4%포인트 상승한 8.3%였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카드사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26조7289억원이었다. 카드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 잔액도 6월 말 기준 2289억원으로 작년 말(917억원)의 2.5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금융 당국은 금리 인상이 계속됨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리스크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연일 금융사들에 리스크 관리,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 확충을 촉구하고 있다.
윤창현 의원은 “금리 인상에 경기 침체까지 더해져 부동산 가격 조정기가 길어질 전망”이라며 “금융당국은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금융사의 선제 자본확충을 점검하는 등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