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항 신성대부두ⓒ연합뉴스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한국 경제가 회복 국면에서 둔화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대외 여건 악화에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약화하고 있으며 제조업 재고율 상승 등 향후 경기둔화를 시사하는 지표가 늘었다는 분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발표한 '11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대외여건 악화에 따라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약화하는 모습"이라며 "향후 경기가 둔화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들이 점차 증가했다"라고 밝혔다.

지난 9월 경제동향에서 '경기 회복세 완만'에서 '경기 회복세 약화'로 진단이 부정적으로 돌아선 데 이어 이달에는 '성장세 약화'로 경기 진단이 더 어두워졌다.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부진이 심화되면서 지난달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했다. 10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7%로 2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주요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17.4% 급감해 3개월 연속 줄었다.

KDI는 향후 경기 국면을 예측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행지수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주요국 제조업 심리가 약해진 점 등을 들어 세계 경기가 둔화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했다.

제조업 생산은 주요 수출 품목을 중심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의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은 전월보다 4.5% 감소해 7월(-3.5%)과 8월(-12.8%)에 이어 석 달 연속 줄었다. 태풍 힌남노 등의 영향으로 1차 금속 생산은 15.7% 급감했다.

제조업 생산은 1.8% 줄면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 재고율(출하 대비 재고 비율)은 123.4%로 전월(122.9%)보다 상승해 제조업 부진의 지속을 시사했다.

비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계절조정 기준)는 지난달 81에서 이달 77로 내려갔다. BSI는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KDI는 제조업에 이은 비제조업의 기업 심리 하락이 향후 경기 둔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미분양 주택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한 점 등은 향후 건설 투자와 소비 회복이 제약될 가능성을 나타냈다.

한편 KDI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계속되면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KDI는 “미국의 가파른 금리인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적으로도 단기자금시장에서 일시적인 신용불안이 발생하는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확대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경제 #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