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웹툰

네이버웹툰의 웹툰 콘텐츠 수출이 2014년 대비 38배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네이버웹툰은 글로벌 진출 10주년을 맞아 지난해까지의 성과를 요약한 ‘2023 웹툰위드(WEBTOON With)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영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3년 수출된 한국 웹툰 수는 2014년 대비 38배 증가했다. 2023년 해외 정식 연재작 중 한국 웹툰 비중은 47%에 달한다.

2018년에 네이버웹툰에 첫선을 보인 ‘여신강림(야옹이)’은 10개 언어로 서비스되어 약 64억 회의 누적 조회수를 기록했고, 이 중 76% 이상이 한국 외 지역에서 발생했다. 해외 진출 과정에서 네이버웹툰은 작가들이 창작에만 집중하도록 번역과 디자인, 마케팅과 홍보 등 현지화 과정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수출 확대와 함께 웹툰 창작자들의 수익도 늘었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총 28억 달러(한화 3조 7354억 원) 이상을 창작자에게 지급했다. 창작자 친화적인 상생 모델로 2023년 117개의 작품이 유료 콘텐츠 거래액(GMV) 100만 달러(13억 원)를 기록한 것과 동시에 전체 거래액의 20% 미만이 ‘톱 100’ 작품에서 나올 만큼 다양한 작품이 수익을 확보했다. 유료 콘텐츠와 더불어 광고, IP 비즈니스(IP Adaptations)에서 추가 수익을 얻는 작품이 늘면서 2023년 연 수익 10만 달러(1억 3000만 원) 이상을 기록한 웹툰 작가는 483명으로 집계됐다.

네이버웹툰은 안정적인 창작 환경을 마련하고자 2013년부터 PPS(Partners Profit Shar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을 보유한 정식 연재 작가들은 원고료와 함께 △유료 콘텐츠 판매(미리보기, 완결 보기) △작품 연계 광고 판매 △IP 비즈니스(영상, 출판, 음원, 게임 등 2차 사업·IP Adaptations) 등 여러 경로로 수익을 확대하고 있다.

김준구 웹툰 엔터테인먼트 및 네이버웹툰 대표는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선보일 수 있는 스토리텔링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지 10년 만에 웹툰이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한 의미 있는 해”라며 “더욱 다양한 비주얼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나올 수 있도록 창작 생태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