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지주가 곧 조병규 우리은행장 연임 여부를 결정한다. 실적 성장과 기업금융명가 타이틀을 공고히하는데 성공했지만 내부통제라는 암초가 조 행장의 연임 가능성을 짓누르고 있다. 임종룡 회장의 파벌 종식 선언도 변수다.
3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날 우리금융지주 사외이사들이 모여 지주 회장 승계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한다. 우리금융은 지난달 27일부터 우리은행 등 7개 계열사의 차기 대표이사를 선임하기 위한 절차에 돌입한 만큼 조 행장에 대한 거취 여부도 곧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이날 자회사대표이사추천위원회가 열릴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지만 변수가 많은 상황이다.
우리금융지주는 회장의 자회사 임원 사전합의제를 폐지하는 등 조직, 승계 문화 쇄신을 선언한 상태다. 우리금융 회장이 계열사 임원 권한까지 갖고 있었지만 내부 계파 문화 해체를 위해 제도를 없앤다는 뜻이다.
이번 인사는 임 회장 입장에서도 그동안의 계파 문화를 해체하고 성과 중심의 조직 문화를 안착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새로운 인사 기조 구축이 임 회장의 성과로 남게 된다는 뜻이다.
이는 조 행장의 거취를 불투명하게 하는 요인이다. 임 회장은 그동안 지주 회장의 '제왕적 권한'이 그룹 내 계파 문화를 고착화하고 내부 소통을 불투명하게 한다고 진단했다. 임 회장은 국정감사에서 계파 문화 해체를 공언했다. 얼마나 그 의지를 보여줄지가 관건이다.
우리금융에는 한일·상업은행 출신이 계열사 CEO를 양분하는 관행이 이어져왔다. 임 회장 체제에서도 마찬가지다. 조병규 행장은 상업은행 출신이다. 계파 문제를 종결한다는 상징적 의미에서도 외부 인사를 영입할 수도 있다.
조 행장은 부당대출 사건 외 우리은행에서 금융사고가 더 드러나면서 거취 논란에서 더더욱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우리금융은 부당대출 관련 당국과 검찰의 고강도 조사를 받고 있다. 당국은 현 경영진 책임론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임종룡 회장이 "지금은 조직 안정과 내부 통제 강화가 중요한 때"라고 국감서 말하는 등 사퇴 거부를 우회적으로 드러내면서 조병규 행장의 거취에 더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2026년 3월까지인 임 회장의 임기 동안 조 행장이 연임을 통해 합을 맞출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이후 우리금융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다소 누그러진게 변수가됐다. 당초 정무위원회 국감은 '우리은행 국감'이 될 것으로 점쳐졌지만 의원들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을 더 부각했다. 부당대출 사태 관련 이 원장의 발언이 월권이라고 연이어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금융 현 경영진에 대한 책임론도 상쇄됐다.
일단 경영 내실화 차원에서도 합격점이다. 지난해 7월 임기를 시작한 조 행장은 짧은 기간 내 유의미한 성과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적 개선에 성공했고 본인이 강점이 있는 기업금융부문을 성장시켜 기업금융 명가 타이틀을 공고히 구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