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CI홀딩스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4.3% 감소한 9088억원, 영업이익은 77.1% 감소한 205억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 2.3%를 달성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4.3% 줄었고 매출은 전년 동기 6903억원 대비 31.7% 늘었다. 다만 지난해 5월 지주사 출범 이후 올 1월말 사업회사 OCI가 종속기업으로 편입이 최종 완료됐기 때문에 정확한 전년 비교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당기순손실은 187억원을 기록했다. DCRE(도시개발사업)의 도급공사비 386억원이 일시적으로 인식됐고, 달러 약세에 따른 외환차손 537억원이 반영됐다.
3분기 기준 올해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7235억원, 2093억원이다. 이에 따라 연 매출 3조원은 무난히 넘길 것으로 보인다.
주요 자회사별로 보면 말레이시아에서 비중국 태양광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OCI M의 매출은 전 분기 대비 63% 감소한 650억원, 영업이익은 89.8% 감소한 60억원을 기록했다.
미국의 동남아 4개국(태국,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우회에 대한 반덤핑·상계관세법(AD/CVD) 조사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해당 지역 주요 고객사들의 주문량이 급감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이와 관련해 지난 2분기 컨퍼런스콜을 통해 OCI홀딩스는 내년에 예정됐던 OCI M의 법적 정비를 선제적으로 실시해 전략적 대응에 나선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태양광 사업 지주회사인 OCI Enterprises(OCI E)는 지난 8월 자회사 OCI Energy의 200MV(메가와트) 규모의 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 사업권 매각에 대한 수익이 반영되면서 전 분기 대비 53.4% 증가한 매출 550억원, 영업이익은 7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도시개발사업 자회사인 DCRE(디씨알이)의 경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5.6% 증가한 1240억원을 기록했고, 기 분양단지 공사비 정산 등의 영향으로 32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은 "업황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신재생에너지, 반도체 소재 등 미래 성장·고부가가치 사업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들어 갈 것"이라며 "미국 현지 조인트벤처(JV) 설립을 비롯해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OCI M으로부터 텍사스의 미션솔라에너지(MSE), OCI 에너지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 체계를 구축하는 등 비중국 태양광 밸류체인 확장에 대한 신중한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OCI홀딩스는 3분기 기준 1조7000억원 상당의 안정적인 현금 보유력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강화를 목적으로 추가 자사주 매입을 적극 시행한다.
이달 1차 목표인 2%(약 400억원)의 주식을 전량 소각했다. 이어 지난 2분기 이사회에서 의결된 2차 200억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 중이며 연내 소각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하반기 수익 감소에도 2024년 주당배당금(DPS) 최소 3300억원대를 유지할 계획이다. 이는 현 주가 기준 배당수익률 약 5% 수준이다. 이로써 올해 총 주주환원액 규모는 배당금 650억원을 포함해 약 1200억원 규모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