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1/1642792_654065_4720.jpg)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월 대비 확대됐다. 은행의 경우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제2금융권으로 수요가 쏠렸다.
금융위원회는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10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총 6조6000억원 증가해 전월 증가폭 5조3000억원 대비 확대됐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제2금융권에 대해 은행권과 마찬가지로 경영계획을 제출받아 이를 기반으로 대출 잔액을 관리할 방침이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5000억원 증가해 전월(6조80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줄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은행권과 제2금융권 모두 증가세로 돌아서 총 1조1000억원 늘었다.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기조의 여파로 2금융권의 가계대출은의 가계대출은 급증했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7000억원 늘어 3000억원 감소했던 전월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21년 11월 이후 2년 11개월 만의 최대 증가 폭이다.
주택담보대출은 1조9000억원 늘어 전월 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중도금·잔금대출 증 집단대출 위주의 대출 수요 이동이 두드러졌다. 기타 대출은 카드론, 보험계약 대출 등을 중심으로 8000억원 늘었다.
업권별로 보면 상호금융권 가계대출이 9000억원 늘었다. 새마을금고가 1조원 늘어나며 상호금융권 증가세를 이끌었다. 농협(200억원), 수협(500억원) 등도 증가세를 보였으며 신협(-2000억원), 산림(-100억원) 등은 소폭 감소했다.
여신전문금융사도 9000억원 늘었다. 보험(5000억원), 저축은행(400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여전업권은 카드론, 보험업권은 보험계약대출, 저축은행업권은 신용대출 위주로 각각 증가했다.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 흐름을 보였다. 10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39조5000억원으로 9월 말보다 3조9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9월(5조6000억원)보다는 증가 폭이 급감했다.
가계대출 중에서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0조3000억원)이 3조6000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8조1000억원)이 3000억원 각각 늘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은행 자체 주택담보대출이 1조5000억원, 정책성 대출이 2조1000억원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1324조3000억원으로 전월 보다 8조1000억원 늘었다. 전월에 비해 증가 폭이 두배 가까이 확대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대출은 각각 2조9000억원, 5조3000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 가운데 중소법인의 대출이 4조9000억원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은 부가가치세 납부, 중소법인 시설 자금 수요 등으로 대기업 대출은 분기 말 일시 상환분 재취급 등으로 각각 증가 폭이 확대됐다.
2금융권 가계대출 급증하면서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은행권에서만 받아온 연간 가계대출 관리 방안을 2금융권에서도 받기로 했다. 이날 금융위원회는 '가계부채 점검회의'도 열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부동산 시장과 거시경제 안정을 위해 금년 남은기간 뿐만 아니라 당분간은 이러한 자율적인 관리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크다”며 "다만 연초 수립한 경영목표를 초과해 가계대출을 취급한 은행의 경우 반드시 경영목표를 준수할 수 있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