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카드가 내부통제위원회를 열고 위원장을 선임했다. 금융사 전반이 내부통제 관련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카드업계 첫 내부통제위원회 개최다.
18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지난 8월 기존 내부통제위원회를 이사회 내 위원회로 승격한 이후 지난 12일 첫 내부통제위원회를 열었다. 이날 이복실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이복실 위원장은 여성가족부 차관을 지낸 인물로 국가경영연구원 비상임이사 겸 부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위원회는 이복실 위원장과 이진하 기타비상무이사, 이태희 사외이사 등으로 꾸려져 있다. 내부통제위원회는 내부통제의 기본 방침과 전략을 수립하고 심의·의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금융사들은 지난 7월 개정된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라 내부통제위원회를 이사회 내 위원회로 설치해야 한다. 롯데카드가 카드업계 처음으로 신설했고 이후 KB국민카드 등 다른 카드사들도 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했거나 준비 중이다.
최근 은행 뿐만 아니라 금융권 곳곳에서 수백억 원대 횡령·배임과 부당대출 등 금융사고가 발생하면서 내부통제에 대한 경고등이 켜졌다. 시중은행의 부당대출 사건이 국감까지 올라가 금융권 안팎으로 도마 위에 오르는 등 내부통제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카드업계도 지난해 100억원대 배임이 발생했다. 통상 카드사들은 고객의 돈을 맡아 예탁하는 수신 기능이 없어서 횡령·배임 가능성이 낮다고 여겨져 왔지만 더이상 무풍지대는 아니다.
카드사 등 여신전문회사는 금융사고 발생시 당국이 제재할 수 있는 근거가 불충분하다. 은행이나 증권사의 경우 임직원이 횡령이나 배임을 저질렀을때 금융당국이 직접적으로 제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있어서 적접한 조치가 내려지지만 당시 금감원은 카드사의 배임을 적발하고도 경영유의 조치를 내리는 데 그쳐야 했다.
여전사 제재 등을 뒷받침할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안은 지난 국회때 발의됐지만 1금융권 이슈 등에 밀려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일단 자체적으로 금융사들이 내부통제를 강화해야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부당대출, 금융사고 문제가 일파만하하면서 금융사 전반적으로 내부통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