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서울 오피스텔 전세금 급등, 전세사기 여파
서울 오피스텔 시장이 전세사기의 여파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전세 사기에 대한 우려로 빌라 전세 수요가 오피스텔로 이동하면서 전세금과 월세 보증금이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오피스텔의 평균 전세보증금은 2억4713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연간 평균 2억2086만원에 비해 11.9% 상승한 수치다.
서울 오피스텔의 평균 전세보증금은 최근 몇 년간 소폭의 변동을 보였다. 2021년 2억1602만원, 2022년 2억2497만원, 2023년 2억2086만원으로 등락을 거듭했다. 그러나 올해는 2027만원이나 급증해 눈길을 끈다.
월세 시장의 변화는 더욱 극적이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의 평균 월세 보증금은 5751만원으로, 전년 대비 42%나 급등했다. 이는 최근 몇 년간의 연간 상승폭인 350만원에서 430만원 수준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월세 보증금의 상승세는 올해 들어 더욱 가파르다. 1월 4870만원이었던 보증금은 3월 5716만원으로 5000만원 선을 돌파했고, 6월에는 6045만원까지 올랐다. 10월에 이르러서는 6880만원까지 치솟았다.
다방 관계자는 "보통 월세와 전세금은 비슷한 상승폭을 보이는데 올해는 월세보다 전세금 상승폭이 훨씬 가팔랐다"며 "빌라 전세를 찾거나 현재 빌라 전세로 있는 사람들이 아파트로 옮기자니 부담이 커 대안으로 오피스텔을 많이들 선택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추세는 한국부동산원의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서울의 오피스텔 전세가격지수는 5월 99.69에서 시작해 10월 99.80까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보증금 1000만원 기준 평균 월세는 지난해 78만원에서 올해 80만원으로 2.6% 오르는 데 그쳤다. 이는 전세금과 보증금의 급격한 상승세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전세사기에 대한 우려가 오피스텔 시장으로 수요를 이동시킨 결과로 해석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안전해 보이는 오피스텔 전세나 반전세를 찾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세금과 보증금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장 변화는 주거 안정성을 추구하는 세입자들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동시에, 전세사기로 인한 주택 시장의 불안정성이 오피스텔 시장으로 전이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주택 정책과 전세사기 방지 대책의 효과에 따라 오피스텔 시장의 추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삼성물산 시공 '사우디 최초 도시철도' 운행 시작
![리야드 메트로 열차 운행 전경[사진=삼성물산]](https://cdn.ebn.co.kr/news/photo/202412/1644647_656298_029.jpg)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건설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메트로가 본격 개통돼 현지시간 1일부터 정상 운행을 시작한다.
리야드 메트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 들어서는 첫번째 대중교통 시설이며, 1호선부터 6호선 총 176km 연장으로 세계 최대 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다. 6개 노선 중에서 1∙4∙6호선 3개 노선이 12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운행되며, 2∙5호선은 12월 15일, 그리고 1월 5일에 3호선까지 단계적으로 운행이 개시될 예정이다.
앞서 6개 전체 노선에 대한 개통식 또한 27일 진행됐다. 기념식은 리야드 왕궁에서 실시되었고, 사우디 왕가와 발주처인 리야드 왕립위원회(RCRC) 고위 인사가 참석했다. 특히 이날 살만 빈 압둘아지즈 국왕이 직접 리야드 메트로의 개통을 선언해 의미를 더했다.
이번에 개통하는 리야드 메트로 노선 중 삼성물산은 스페인 건설사 FCC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4-5-6호선을 시공했다. 킹 칼리드 국제공항과 킹 압둘라 금융지구 등 리야드 핵심 지역을 가로지르는 이 노선들은 총 연장 70km에 달하며 역사만 29개, 24km의 교량구간 등이 함께 건설됐다.
리야드 메트로는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 달성을 위한 중요한 인프라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향후 리야드 핵심 대중교통 시설로서 사우디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켜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리야드 메트로에는 삼성물산이 가진 고난이도 건설 기술들이 동원되기도 했다. 삼성물산은 공장에서 교량 상판을 미리 제작, 현장에 설치하는 ‘교량 상판 일괄 가설 공법(FSLM, Full Span Launching Method)’ 기술을 적용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안전한 시공을 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5호선 건설 당시, 직경 9.8m에 달하는 터널 굴착 장비(TBM, Tunnel Boring Machine) 2대를 사용해 일일 굴착 길이 세계 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 또한 무인운전 시스템을 도입해 리야드 메트로 노선들은 모두 자동화 운영될 예정이다.
삼성물산은 이번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 지역과 동남아∙호주 등 여러 국가에서, 인프라∙발전소와 같은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삼성물산 리야드 메트로 최영훈 부사장은 “세계 최대 규모의 사우디 첫 도시철도 프로젝트를 직접 시공해 의미가 크다”면서 “공사기간 동안 많은 난관이 있었으나, 삼성물산이 보유한 높은 시공 기술력과 노하우를 통해 리야드 메트로를 성공적으로 완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태영건설, 조직개편·임원인사…'조직 효율성 제고' 방점

태영건설은 기존 운영본부를 폐지하는 등 조직 효율성 제고에 방점을 둔 조직 개편을 실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에 따라 운영본부 산하의 원가관리팀은 경영본부로, 리스크매니지먼트(RM)팀과 실행견적팀은 경영혁신실로 이관된다.
또 개발사업팀은 개발사업1팀과 개발사업2팀으로 나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조속한 안정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다.
태영건설은 이번 조직 개편에 대해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한 경영환경 악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경영 정상화를 내실있게 진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Weekly 건설·부동산] 현대엔지니어링, 방화3구역 재건축정비사업 수주 등
- [Weekly 건설·부동산] 9월 전국 부동산 시장, 2개월 연속 하락세..아파트 거래량 올해 ‘최저’ 등
- [Weekly 건설·부동산] 건설업 침체에 10월 CBSI 70.9 그쳐...전월 比 4.7p↓ 등
- [오늘(2일) 날씨] 전국 대체로 흐림…일부 지역 '빗방울'
- 삼성물산, 부사장 6명·상무 16명 승진
- [Weekly 건설·부동산]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 베트남 사업 확장 가속화 등
- [Weekly 건설·부동산] 이번주 2177가구 분양..."한산한 분위기 이어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