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삼성]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총력전에 돌입한다. AI 역량 확대를 위한 삼성전자의 노력은 인사 단행과 조직 개편, 기술 마련 등을 통한 내부 점검부터, 플랫폼 기업 투자 등의 외부 요소 살피기까지 광폭 양상을 보이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AI 역량 강화를 위해 850억원 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최근 삼성반도체혁신센터(SSIC) 산하 벤처투자 전문펀드 삼성카탈리스트펀드(SCF)는 미국 AI 보안 플랫폼 기업 액시아도(Axiado)에 6000만 달러(한화 약 848억원) 규모 투자에 참여했다. 

이번 투자는 매버릭 실리콘이 주도하고 아트레데스 매니지먼트, 크로스링크 캐피탈 등도 참여한 시리즈 C 펀딩 라운드다. 다만 SCF의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액시아도는 이번 펀딩을 통해 엔비디아, AMD, 인텔, Arm 등 주요 플랫폼 공급 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삼성 AI 반도체 HBM3E 12H [제공=삼성]
삼성 AI 반도체 HBM3E 12H [제공=삼성]

삼성전자가 액시아도에 주목한 이유는 AI 보안 기술 때문이다. AI와 가속 컴퓨팅이 데이터센터의 수요처로 떠오르면서 고성능 인프라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의 중요성도 높아져서다. 

액시아도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5G 네트워크 및 기타 분산 컨퓨팅 네트워크 등에 나타나는 랜섬웨어와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고정 플랫폼 보안 설루션 기업이다. 

액시아도의 AI 기반 하드웨어 고정형 신뢰제어/컴퓨팅 장치(TCU) 설루션은 디지털 위협을 선제적으로 감지해 완화시킨다. TCU 내장 동적 열관리(DTM) 설루션은 AI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 요구 사항도 충족한다.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최근 LG전자, 현대자동차와 함께 캐나다의 AI 스타트업 텐스토렌트에 7억 달러(약 9905억원) 규모 펀딩 라운드에 참여하기도 했다. 

AI 반도체 기술 자력 기르기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종합기술원(SAIT) 산하에 있었던 AI센터와 DS부문 내 혁신센터를 통합해 AI센터를 신설했다. 

AI센터장은 송용호 메모리사업부 솔루션개발실장 부사장이 임명됐다. AI센터는 AI 시장 수요 적기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전담한다. 송요호 부사장은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로, 60명의 인력을 통해 차세대 저장장치 개발과 AI 시대 대응을 위한 기술 혁신 주도에 나설 예정이다. 

기존 DS부문의 제조·기술담당 조직은 메모리 사업부와 파운드리 사업부 전담 조직으로 각각 나눠 사업별 공정 기술 전문성 강화를 노린다. 메모리 사업부는 소재부품(CTC) 센터를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 사업부로 통합했다. 별도 조직인 평택 조직·인사는 메모리 사업부로 통합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5월 반도체 경쟁력 확보를 위해 DS 부문장에 전영현 부회장을 구원투수로 투입하기도 했다. 최근 진행된 2025년 임원 인사를 통해서는 전영현 부회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메모리 사업부까지 지휘 하에 둬, 초격차 마련에 보다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번 인사를 통해 전 부회장이 쓴 감투는 총 4가지로 대표이사 겸 DS부문장, 메모리사업부장, SAIT원장 등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