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UN 포럼에서 정재관 카카오 기술윤리 리더가 기술을 통한 공공기여에 대한 발표를 하고 있다. [출처=카카오]
지난 18일 UN 포럼에서 정재관 카카오 기술윤리 리더가 기술을 통한 공공기여에 대한 발표를 하고 있다. [출처=카카오]

카카오는 UN 포럼에 참여해 기술을 활용한 공공기여 사례를 소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총 5일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UN 산하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nternet Governance Forum: IGF)’이 열렸다.

이 국제 포럼은 인터넷과 디지털 이슈에 대한 글로벌 이해관계자의 협력을 도모하고 정책적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 매년 개최된다. 올해는 ‘다중 이해관계자의 디지털 미래 설계’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175개국에서 9000명 이상의 인터넷/IT 전문가 등이 참여했다.

카카오는 18일 ‘인권보호를 위한 AI의 활용’ 세션에 참여했다. 윤혜선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해당 세션의 사회를 맡았으며, 카카오 기술윤리 정재관 리더를 비롯해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황용석 교수, AWS 싱가포르 경제 및 AI 정책 책임자 레이첼 리(Rachel Lee), 아프리카·중동·터키 지역사회 참여 및 지원 책임자 샤타이 피커라(Çağatay Pekyörür) 등이 발제자로 나섰다.

카카오는 이 자리에서 △공공 혁신을 위한 토종 플랫폼의 노력 △그룹 차원의 기술윤리 실행 △디지털 안전 제고를 위한 활동 등을 소개했다.

카카오는 국민들에게 카카오톡을 통해 공공정보를 제공한 사례를 소개하며, 토종 플랫폼으로서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적극 노력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톡 알림톡과 전자문서 서비스를 활용해 기존 우편 전달 방식의 행정을 디지털화하며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여 공공서비스의 효율을 증대시킨 사례가 강조됐다.

카카오는 그룹 기술윤리 소위원회를 통해 기술 윤리를 체계적으로 실행하며, 서비스 출시에 앞서 안전성 강화를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등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윤리 원칙을 수립하고 욕설·비속어 및 정책 위반 댓글을 자동으로 필터링하는 ‘세이프봇’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톡안녕 보고서’를 통해 이용자 보호 정책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UN 여성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 혁신 리더 이마드 카림은 “카카오와 같은 아시아 민간 기업이 글로벌 무대에서 노하우를 나누는 것이 매우 귀중하고 의미 있는 일”이라고 전했다.

정재관 카카오 기술윤리 리더는 “카카오는 이용자 인권 보호 등 디지털 플랫폼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공공혁신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고, 이용자들이 안전하게 기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