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
[제공=연합]

내년 한국의 수출이 보호무역주의 강화, 글로벌 경기 부진 등의 이유로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 '2025년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해 22일 결과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응답 기업의 내년도 평균 수출 증가율 전망치는 1.4%에 그칠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 수출 전망을 살펴보면 바이오·헬스(5.3%)와 일반기계(2.1%), 석유화학·석유제품(1.8%), 전기·전자(1.5%), 선박(1.3%)은 올해보다 증가가 전망됐지만 자동차·부품(-1.4%), 철강(-0.3%)은 감소로 예상됐다.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들은 수출 부진 이유로 주요 수출대상국 경기 부진(39.7%), 관세 부담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30.2%), 원자재·유가 상승에 따른 가격경쟁력 약화(11.1%) 등을 꼽았다.

응답 기업 32.6%는 내년 수출 채산성(이익 수준)이 올해에 비해 악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개선을 전망한 기업(20.6%)보다 많았다. 채산성 악화가 전망되는 업종을 묻는 말에는 선박(50.0%), 전기·전자(45.4%), 자동차·부품(42.9%) 등의 순으로 답이 나왔다.

수출 채산성 악화 요인으로는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관세 부담 증가(46.9%), 수출 경쟁 심화로 인한 수출단가 인하(20.5%), 원자재 가격 상승(12.2%), 원화 평가 절하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12.2%) 등이 지목됐다.

수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들은 수출 부진 대응 방안으로 수출시장 다변화'(47.6%), 운영비, 인건비 등 비용 절감(23.8%), 환율리스크 관리 강화(15.9%)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우리 기업들의 수출 여건이 제일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는 지역으로는 가장 많은 48.7%가 미국이라고 답했다. 중국(42.7%)이 뒤를 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미·중 갈등이 심화하고,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진단은 예상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는 외환시장 안정화(31.5%), 보호무역 강화에 따른 수출 피해 최소화(22.8%),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 지원(18.0%) 등이 꼽혔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세계경제 둔화와 주력 업종 경쟁력 약화로 내년도 수출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에 트럼프 행정부가 보편 관세를 실제로 부과할 경우 수출 여건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며 "정부는 외환시장 안정화,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수출 피해 최소화 등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환경조성에 주력하고, 국회는 기업 활력을 저하시키는 규제 입법보다 수출 활력 제고를 위한 입법에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