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지난해 공모펀드 시장에서 수익률과 자금유입 양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펀드가 해외주식형, 해외채권형, 국내회사채 등 다양한 유형에서 고른 성과를 거뒀다.

9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한국투자신탁운용의 공모펀드 3종은 각각 해외주식형 정보기술(IT) 섹터와 국내회사채 펀드 수익률 1위, 해외채권형 펀드 설정액 증가 1위를 기록했다.

한국투자글로벌AI&반도체TOP10(UH)(S-R클래스)는 지난해 59.59%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해외주식형 펀드 IT 섹터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동일 유형 펀드 평균 수익률(30.89%)은 물론 미국 나스닥100(24.88%)과 S&P500(23.31%) 수익률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이 펀드의 운용설정액은 2023년 말 29억원에서 2024년 말 542억원으로 18배 가량 증가했다. 환헤지를 실시하는 동일 계열 펀드 역시 같은 기간 163억원에서 855억원으로 4배 이상 성장했다.

한국투자크레딧포커스ESG(C-W클래스)는 지난해 6.30%의 수익률로 국내회사채 펀드 중 1위를 기록했다. 이 상품의 3년 및 설정일 이후 수익률은 각각 14.44%, 22.73%로 집계됐다. 작년 말 기준 운용설정액은 1조8524억원으로 국내 최대 회사채 펀드의 위상을 유지했다.

해외채권형 공모펀드 중 설정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상품은 한국투자미국장기국채(H)(A클래스)로, 작년 한 해 동안 5028억원이 증가했다. 같은 상품의 A-e클래스도 804억원 증가해 10위에 올랐다. 이 펀드는 2023년 3월 최초 설정 이후 1년도 되지 않아 큰 폭의 설정액 증가를 기록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손익차등형 공모펀드 시장에서도 선전했다. 2023년 출시한 '한국투자글로벌신성장펀드'는 지난해 11월 중순 목표수익률 20%를 달성해 조기상환을 완료했다. 지난해에는 3종의 손익차등형 펀드를 추가로 출시해 현재 국내 손익차등형 공모펀드 시장의 49.02%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 관계자는 "인하우스 리서치를 통해 시장 트렌드와 투자자 수요에 맞는 상품들로 2024년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올해도 장기적으로 유망한 투자처를 발굴해 투자자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KB자산운용 AI·로봇 ETF, 단기 수익률 1위

ⓒKB자산운용
ⓒKB자산운용

 

인공지능(AI)과 로봇 산업에 대한 투자 열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KB자산운용의 'RISE AI&로봇 ETF'가 뛰어난 실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9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8일 기준 'RISE AI&로봇 ETF'의 최근 1개월 수익률은 18.05%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 상장된 로봇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중 최고 수준이다.

이러한 성과는 최근 삼성전자가 로봇 전문 기업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면서 로봇 관련 투자 상품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급격히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국내 로봇 전문 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14.7%에서 35.0%로 늘려 최대주주가 됐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자사의 AI 기술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하드웨어 기술을 접목해 휴머노이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자동화 확대, 고령화와 출생률 감소로 인한 노동 가능 인구 감소 등으로 로봇 도입 확대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AI와 로봇이 단기 테마성 이슈에 그치지 않고 자율주행차,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 계보를 이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3년 10월 출시된 'RISE AI&로봇 ETF'는 AI 소프트웨어와 로봇·자동화, 반도체·전자제품, 바이오산업 관련 기업에 고루 투자하는 상품이다. 이 ETF는 총 26개의 편입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종목으로는 레인보우로보틱스(8.47%), 두산로보틱스(6.75%), 에스오에스랩(6.41%), 네이버(6.18%), 뉴로메카(4.85%) 등이 포함돼 있다.

이도진 KB자산운용 매니저는 "AI와 로봇 공학의 융합은 산업 자동화와 소비자 서비스 분야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며 "CES 2025에서도 로보틱스 솔루션이 주요 테마로 언급되며 AI와 로봇을 동시에 투자할 수 있는 해당 상품의 향후 투자 매력도는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한자산운용 TDF, 수탁고 1조원 돌파

ⓒ신한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은 대표 연금상품인 신한 마음편한·장기성장 TDF 시리즈가 수탁고 1조원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신한자산운용 TDF 시리즈는 지난해 1800억원 이상의 순증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자금 유입의 주요 요인으로는 우수한 운용 성과가 꼽힌다. 특히 장기 운용 능력을 나타내는 3년 성과 지표에서 1위를 유지 중이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연금 투자의 핵심 연령대인 30대와 40대가 주로 가입하는 신한 마음편한TDF(2045, 2050)의 3년 수익률은 각각 15.63%와 16.73%로, 1000억원 이상 동일 유형 펀드 중 수익률 1위를 달성했다.

신한자산운용 TDF의 우수한 성과 요인으로는 세 가지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오픈유니버스 전략으로 자사 상품 위주가 아닌 전 세계 우수한 다양한 상품에 선별적으로 투자하고, 적극적인 전술적 자산배분을 통해 단기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외주식에 대해 환오픈 전략을 기본으로 하되 시장 상황에 따라 환헤지 비중을 조정하는 유연한 환율 전략을 구사하는 전략이다.

신한자산운용 멀티에셋운용의 김성훈 센터장은 "12월 FOMC 이후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는 낮아진 상황이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따른 물가 부담도 커지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정책 수혜 업종인 금융, 소비재 등을 중심으로 미국 주식의 매력이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