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48365_660594_1631.jpg)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는데 드는 비용이 40만원(4인 기준) 넘게 든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일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설 차례상 비용이 전통시장 30만2500원, 대형마트 40만9510원으로 집계됐다. 전통시장은 전년 대비 6.7%, 대형마트는 7.2% 각각 상승한 수치다.
전통시장 기준으로 지난해 설과 비교해 과일류는 57.9%, 채소류는 32.0% 각각 급등했다. 배 가격은 3개 기준 1만35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두 배 뛰었다.
대형마트의 경우도 과일류와 채소류 가격이 전년 대비 각각 48.9%, 26.4% 상승했다. 부사 사과(3개)는 7.4% 오른 2만 1240원, 배(3개)는 두 배 가까이 오른 3만 4960원에 판매되고 있다.
한국물가정보는 “과일류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악천후로 가격이 올랐는데, 차이점은 지난해 가격 상승의 주범이 사과였다면 올해는 배”라며 “전년 대비 비교적 작황을 회복한 사과와 달리 배는 지난여름 폭염 및 집중호우로 인한 일소, 낙과 등의 피해가 커 생산량 감소와 상품성 저하로 저장량이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나물류와 수산물의 경우 전통시장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대형마트에서는 각각 15.5%, 4.9% 올랐다. 다만 정부와 유통업체의 할인이 적용되지 않은 금액이어서 실제 구매 시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정부가 설 민생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900억원을 투입해 농·축·수산물을 최대 반값에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농축산물의 경우 정부 지원 20%와 생산자·유통업체 할인 20%를 합쳐 최대 4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수산물은 정부 지원 20%와 유통업체 할인 최대 30%를 더해 최대 50%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팀장은 “평년보다 빠른 설과 최근 한파 영향으로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품목이 있다”며 “좋은 품질의 재료를 비교적 저렴하게 구매하려면, 저장 기간이 비교적 긴 품목은 미리, 변동이 잦은 채소류와 같은 품목은 기후 변화에 맞춰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