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에쓰오일]
[출처=에쓰오일]

에쓰오일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한 4605억원으로 잠정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2.5% 늘어난 36조6370억원을 기록했고, 순손실은 1634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매출액은 판매물량 증대와 함께 소폭 늘었지만 정제마진과 석유화학·윤활기유 스프레드가 전년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사업부문별 영업이익은 정유 부문이 245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석유화학 부문과 윤활기유 부문은 각각 1348억원과 5712억원의 흑자를 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8조9171억원, 영업이익은 2608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매출액은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영업이익은 정제마진 개선과 긍정적 재고관련 효과를 바탕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정유 부문은 아시아 정제마진은 역내 정유사 정기보수로 인해 공급 물량이 감소한 가운데 난방유 수요가 계절적으로 증가하면서 전 분기 대비 상승했다. 두바이 원유 가격의 달러화 가치 강세로 인한 하락 요인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기 부양에 대한 기대감이 이를 상쇄했다.

석유화학 부문의 경우 아로마틱 부문은 PX와 벤젠 시장은 동절기 휘발유 수요 둔화로 인해 휘발유 혼합에 쓰이는 아로마틱 원료 수요가 감소했다. 중국 신규설비 가동에 따라 공급이 늘면서 스프레드가 하락했다.

올레핀 다운스트림은 PP 시황이 블랙프라이데이, 성탄절 등 계절적 수요로 인해 소폭 개선됐다. 반면 PO 시장은 중국 설비 정기보수 후 재가동에 따라 공급이 늘어난 가운데 다운스트림 수요가 부진해 약세를 보였다.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수요 둔화로 인해 소폭 하락했다.

에쓰오일은 올해는 전년 대비 양호한 영업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에쓰오일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된 상황이지만 아시아 역내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이 견고하게 지속되고 있다"며 "중국이 경기부양책을 강화함에 따라 석유수요가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 석유수요는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설비 순증설은 제한적"이라며 "장기적으로 수급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에쓰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