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딥시크 캡쳐]
[출처=딥시크 캡쳐]

정부가 중국 인공지능(AI) 챗봇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나섰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부적으로 딥시크 접속을 제한했다. 두 부처는 외교 및 통상 분야의 민감한 기밀 정보를 취급하는 기관으로, 정보 유출 가능성을 우려해 자체 판단에 따라 접속을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범정부 차원에서 생성형 AI 사용이 기밀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딥시크 및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 시 주의를 당부하는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고, AI가 생성한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딥시크는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의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호주, 일본, 대만 등 여러 국가에서도 딥시크 사용 규제에 나선 상태다.

국내에서도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방식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최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을 확인하는 질의서를 발송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딥시크 측의 공식적인 회신은 없는 상황이다.

정부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도 딥시크 사용 금지 조치가 확산되고 있다. 오픈AI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한 카카오는 최근 사내 공지를 통해 “딥시크의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국내 대형 IT 기업 가운데 첫 번째 공식적인 사용 금지 사례다.

LG유플러스도 같은 날 정보보안 안내문을 통해 딥시크 사용 금지를 공지했다. 삼성전자, SK, LG전자 등 주요 대기업들은 자체적으로 생성형 AI를 개발해 활용하고 있으며, 사내 PC에서 허가되지 않은 외부 프로그램 사용을 원천 차단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