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예고했던 10% 추가 관세가 '반전' 없이 예정대로 발효된 가운데 중국 역시 곧바로 '맞출 관세'로 대응하고 나섰다. [출처=EBN AI 그래픽 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예고했던 10% 추가 관세가 '반전' 없이 예정대로 발효된 가운데 중국 역시 곧바로 '맞출 관세'로 대응하고 나섰다. [출처=EBN AI 그래픽 DB]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됐다. 중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對中) 10% 보편 관세 인상에 대응해 10일 0시(베이징 현지시간)부터 보복 관세를 공식 부과하며 무역전쟁 2라운드에 돌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오전 0시(미국 동부 시간)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명목상 이유는 중국의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문제에 대한 미흡한 대응이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즉각적인 맞대응 조치를 발표하며 보복에 나섰다.

중국이 부과한 보복 관세는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 15%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 10% 등으로 설정됐다. 여기에 더해 △구글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 △텅스텐·텔루륨 등 희귀 광물 수출 통제 △패션기업 PVH 그룹(캘빈클라인 모회사) 및 생명공학업체 일루미나 제재 등 추가적인 경제 보복 조치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멕시코와의 관세 협상에서는 시행을 한 달간 유예했지만, 중국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중국은 "주동적으로 무역 분쟁을 일으키지 않겠다"면서도 구체적인 협상 진행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통화를 서두르지 않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업 경영자의 사고방식으로 신속한 합의를 원하지만, 중국은 철저한 사전 조율을 거치지 않고 고위급 협상을 진행하는 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양국 간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협상의 가능성도 남아 있다. 미·중 모두 장기적인 무역전쟁이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20년 1월 1단계 무역 합의 사례처럼 결국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미국 제품 구매 확대(2000억 달러 이상)를 조건으로 추가 고율 관세 부과를 유예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