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및 대통령 권한대행. [출처=연합]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및 대통령 권한대행. [출처=연합]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발 관세 부과에 대응해 "이제부터는 통상 총력전"이라며 강력 대응 방침을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미국발 통상 전쟁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국가별 명암이 엇갈릴 것"이라며 "수출전략회의를 개최해 관계 부처 장관들과 함께 관련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역대 최대 규모인 360조원 플러스알파의 무역금융 지원과 수출 품목·지역 다변화 대책 등 범정부 차원의 수출 대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트럼프 신정부가 관세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며 우리 수출 전선에 비상이 걸렸다"며 "정부의 통상 대응 역량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고 진단했다.  

최 권한대행은 정부가 사전에 예상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통상 대응책을 마련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출 기업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민·관이 원팀이 되어 대미 아웃리치(대외 소통·접촉) 활동을 입체적으로 전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외교·안보·통상 라인을 총가동해 미국 행정부, 주정부, 상·하원과 소통을 이어가는 한편, 국내 2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로 구성된 민간 경제사절단의 방미를 통해 한미 통상 협력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최 권한대행은 "변화 속에는 언제나 기회가 있다"며 "민·관이 '글로벌 팀 코리아'로 똘똘 뭉쳐 대응한다면 이번 통상 위기를 반드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다음 달 12일부터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보편 관세 25%를 부과하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한국의 핵심 수출 품목인 자동차·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최 권한대행은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 경쟁과 관련해 "오는 20일 국가AI위원회를 개최해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실행 전략을 논의하고, 'AI+사이언스 활성화 방안' 등 시급한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국가AI위원회는 AI 분야 민관 협력을 위한 대통령 직속 자문회의로, 지난해 9월 출범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