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MS]
[출처=MS]

마이크로소프트(MS)는 양자 오류와 집적도 한계를 극복한 양자컴 칩 ‘마요라나 1’을 개발했다고 19일 발표했다. 기존 양자컴의 치명적 단점이었던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낮춰 실용적 양자컴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MS는 세계 최초로 ‘위상 초전도체’를 활용한 칩을 개발했으며, 이는 트랜지스터 발명에 비견될 기술적 혁신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IBM과 구글이 1000큐비트급 양자컴을 보유한 것과 비교해 MS는 큐비트를 100만 개 이상 확장할 수 있는 칩을 설계했다고 밝혔다.

MS는 양자컴이 신소재·의료·환경·보안 등 산업 전반에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예컨대 자가 복구 물질 개발, 플라스틱 분해 촉매, 식량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난제가 풀릴 수 있다는 것.

특히 AI 분야에서는 연산 속도를 100배 향상시켜 비용·시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양자컴을 활용하면 신약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암·치매 등 난치병 치료에도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자컴이 기존 암호 기술을 무력화할 위험성도 제기된다. 기존 컴퓨터로 수천 년이 걸릴 암호 해독을 양자컴은 몇 분 만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MS의 기술이 아직 완벽한 상용화 수준에 도달하진 않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무오류 양자컴 실현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지만, 완전한 검증은 더 필요하다는 평가다.

한편 양자컴 경쟁은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구글은 지난해 12월 양자 칩 ‘윌로’로 기존 수퍼컴퓨터가 10의 25제곱년이 걸릴 연산을 5분 만에 해결했다고 발표했으며, IBM 역시 ‘퀀텀 헤론’ 칩을 공개하며 양자컴 시장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은 양자컴 분야에서 후발 주자지만, 위상 초전도체 기반 양자컴 기술 격차는 크지 않아 추격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