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EBN AI 그래픽 DB]](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3403_666168_4256.png)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쟁력 유지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제4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를 열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LG전자 등 관련 업계와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전력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해 무탄소 전력 공급과 분산 전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은 전력 의존도가 높아 온실가스 배출(간접배출)이 전체의 74%에 달한다. 철강(14%), 석유화학(34%) 등과 비교해 높은 수준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무탄소 에너지 공급 확대가 요구된다. 또 무탄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분산 전원 시스템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업계는 공정가스 대체 필요성도 강조했다.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특수가스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이산화탄소보다 최대 2만3900배 높아은 것으로 분석됐다.
강감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은 "반도체·디스플레이·가전 산업의 비용 효율적 탄소중립을 위해 CFE(무탄소에너지) 글로벌 작업반을 구성해 'CFE 인증기준'을 마련하고, 대체가스 개발과 실증, 상용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일준 상의 상근부회장은 "탄소중립 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무탄소 에너지와 분산형 전원 확대, 대체 공정가스 개발 등 문제 해결에 정부와 함께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