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제조 시설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제조 시설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 사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점검하기 위해 대대적인 경영 진단에 돌입했다. 이번 진단을 통해 기술 개발과 의사 결정 과정 전반을 들여다보고 반도체 사업 부진 극복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7일 반도체 업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월부터 시스템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는 시스템LSI 사업부에 대한 경영 진단을 진행 중이다. 이번 진단은 지난해 11월 삼성글로벌리서치 산하에 신설된 경영진단실이 맡고 있으며 이후 파운드리 사업부까지 점검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 비메모리 사업부인 파운드리·LSI 사업부는 수년째 적자를 기록 중이다. 증권가에서는 지난해 4조~5조 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산한다. 삼성이 대대적인 경영 진단을 실시한 것도 대규모 투자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이에 못 미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2019년 "2030년까지 171조 원을 투자해 시스템 반도체 세계 1위에 오르겠다"고 선언했지만 파운드리 초미세 공정에서의 수율 확보 실패와 고객사 확보 난항으로 인해 고전하고 있다. TSMC와의 시장 점유율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신작인 갤럭시S25에 시스템LSI사업부가 설계하고 파운드리 사업부가 제조한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엑시노스 2500'을 탑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대신 퀄컴의 '스냅드래곤 8 Gen3'가 탑재되면서 기술 경쟁력 약화를 방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스템LSI사업부의 이미지센서는 일본 소니에 밀려 점유율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2019년 1분기 19.1%에서 지난해 4분기 8.2%까지 떨어졌다. 업계는 삼성이 기존 전략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다만 4㎚ 공정 수율이 안정되며 고객사 주문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또 TSMC 의존도를 낮추려는 기업들이 삼성을 제2 공급사로 고려하는 점도 기회다. 삼성은 평택·테일러 공장 투자 계획을 재점검하고 일부 인력을 메모리 부문으로 이동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